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서비스업, 최근 5년간 35% '급성장'

국내 서비스업이 지난 5년간 35% 성장하면서 제조업을 크게 앞섰다. 고용 증가율도 50%나 증가했다.


18일 재벌닷컴이 정부가 선정한 7대 유망 서비스업 관련 330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고용·임금·매출·순이익을 조사한 결과 직원수는 지난해 27만4,766명으로 2009년의 19만7,505명보다 46.5% 증가했다.


또 임금 총액도 서비스업이 2009년 8조2천억원에서 지난해 13조3천억원으로 61.7% 늘어났다.


그러나 서비스업을 제외한 제조업 등 다른 업종의 임금 총액은 68조8천억원에서 93조원으로 35.2% 증가했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의 매출은 110조1천억원에서 148조2천억원으로 34.5% 증가했다.


반면 서비스업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매출은 1천130조7천억원에서 1천383조3천억원으로 22.3%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특히 서비스 업종별 고용 증가 효과는 콘텐츠업과 관광업이 크다.

고용 규모는 콘텐츠업이 2009년 9만1,596명에서 2013년 14만8,76명으로 무려 61.7% 늘어났고, 같은 기간 관광업도 4만790명에서 6만4,359명으로 57.8% 급증했다.

고용 증가율은 소프트웨어업(25.9%), 물류업(18.4%), 보건의료업(17.7%), 금융(증권)업(11.3%) 등 업종이 높지만 교육업은 5년 전보다 4.2% 감소한 6,934명에 그쳤다.

외형(매출 기준)은 물류 서비스업이 2009년 5조5천억원에서 2013년 13조2천억원으로 140% 증가했다.


콘텐츠업은 26조원에서 45조3천억원으로 74.4%, 관광업이 24조2천억원에서 34조4천억원으로 42% 각각 급증했다.

소프트웨어업의 외형도 3조2천억원에서 4조2천억원으로 33.6% 증가해 높은 성장세를 보였고, 보건의료업도 7조5천억원에서 9조1천억원으로 22.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면 교육업의 매출은 2009년 2조3천억원에서 2013년 2조원으로 5년 전보다 11.3% 감소했으며, 주식시장 침체 여파로 증권업도 41조6천억원에서 40조원으로 4%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정부는 지난 12일 보건·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금융, 물류, 소프트웨어 등 7개 유망 서비스산업을 육성하는 투자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