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음으로 맞선 어느 여군 성추행 피해자의 복수-1편에 이어 미국 오하이오주 Otterbein College 심리학 교수인 Noam Shpancer는 Psychology Today에 기고한 『When Men Attack; Why (and Which) Men Sexually Assault Women』-이란 글에서, 남자들이 성범죄를 저지를 때, 왜 (그리고 어떤) 남자들이 성적으로 여성을 공격하는 원인을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생물학적 원인 -남성이 여성보다 크고 강하며, 여성을 물리적으로 제압할 수 있다. -섹스와 폭력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심리학적으로 욕과 성(예를 들어, Fuck you)은 연결된다. -성욕과 폭력 둘 다 테스토스테론, 세로토닌과 연결되어 자율신경계를 흥분시킨다. 사회적 원인 -남성의 지배력과 폭력 행위가 사회 질서를 이끌도록 허용하는 국가일수록 여성에 대한 불평등, 성폭력의 수준이 높다. -재범을 일으키는 성범죄자들은 공통으로 강한 반사회적 특성이 있지만, 이른바 평범한 남성은 (성추행 같은) 성 문제를 많이 일으킨다. -오랜 기간 여성의 역할은 ‘동의’, 남성의 역할은 ‘쟁취’였다. 이런 각본은 여성을 성행위에서 수동적인 입장
아직 1년이 지나지도 않았다. 2020년 7월, 박원순 전 서울 시장이 성추행 사건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채 발견됐다. 온 나라가 떠들썩했다. 안희정, 오거돈 등 지자체장으로부터 촉발된 권력형 성범죄도 워낙 큰 이슈여서 지금도 국민의 뇌리에 생생하게 남아 있다. 그래서 성추행이나 성희롱 등 다양한 성적 괴롭힘(sexual harassment)을 저질렀다가는 패가망신에 목숨까지 끊어야 한다는 엄혹한 교훈을 얻었을 법한 데도 최근 한 여성 군인이 동료 남자 군인으로부터 입은 성추행 피해(被害)로 자신의 목숨을 끊은 안타까운 일이 벌어졌다. 도대체 남자들은 (다 그렇다는 건 아니지만) 왜 성추행이 중범죄인 줄 알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가해자가 되는 것일까? 남자의 성 심리를 통해 왜 이렇게 성추행 사건이 반복되는지 그 원인을 추적하고, 대안을 찾아본다. ‘억울함을 풀어주세요’ MBC가 단독으로 취재한 뉴스데스크 보도에 따르면, 공군 제20 전투 비행단 소속이었던 고 이 모 중사는 지난 3월 2일, 선임인 장 모 중사로부터 야간근무를 바꿔서라도 회식에 참석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았다. 당시 소속 부대는 코로나 집단 감염으로 음주, 회식 금지령이 내려져 있었지만, 이
김포시민들이 지난달 22일 발표한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분노하는 건 어쩌면 당연한지도 모른다. 17년 전 2003년 노무현 정부 때 서울 집값 급등을 막기 위해 발표된 12곳의 신도시 가운데 김포시의 한강신도시 계획을 포함해 놓고 교통인프라 조성을 위한 정부의 노력이 전무 했던 데다 이번에도 김포시가 건의한 서울로 바로 가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이 반영되지 않았다. 또 김포시가 건의한 노선 대신 서울 도심까지 30분 안에 간다는 GTX 개념과 전혀 동떨어진 김포시와 부천시까지 잇는 이른바 김부선 안을 정부가 대책이라고 내놓았기 때문이다. 앞뒤가 뒤바뀐 우리나라 신도시 정책 노무현 정부 당시 발표한 제2기 신도시는 수도권 10곳, 충청권 2곳이었다. 수도권의 경우 ▲김포시의 한강신도시 ▲성남시의 판교신도시, ▲화성시의 동탄1도시, 동탄2도시, ▲파주시의 운정신도시, ▲수원, 용인시의 광교신도시, ▲양주시의 양주신도시, ▲송파, 성남시, 하남시의 위례신도시, ▲평택시의 고덕국제신도시, ▲인천서구의 검단신도시 등이었다. 이들 신도시는 판교, 위례를 제외하고 서울에서 반경 30~40km, 그러니까 서울 광화문 네거리(도로 원점)에 컴퍼스의 중심을 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