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조던 칼럼〉부자가 되는 공식


필자는 오늘 부자가 되는 공식을 하나 발견했다. 그건 땅이나 주식으로 부자가 된다에 대 한 결론이다. 필자가 이렇게 생각한 데는 가치투자를 하는데 있어서 이 두 가지가 가장 필요한 공식이기 때문이다. 쪼가리 땅(적은 지분의 땅)으로 부자가 된 사람도 있었다. 그는 땅 투자를 한 지 수십 년이 지난 그야말로 땅 사는 전문가이다. 그 사람이 사는 땅은 남들이 쳐다보지 않는 쪼가리 땅이다. 그런데 어떻게 그런 쓸모없는 땅으로 부자가 되었을까? 의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그는 농사를 짓는 농부다. 그 사람은 농사를 지어서 생활비를 쓰고 남는 돈으로 이웃의 어려운 사람을 도왔다. 그의 특이한 투자법이라면 절대로 남의 땅을 사러가지 않는다는 점이다. 필자가 여러 차례 그의 땅을 보러 갔는데 대부분은 땅이 몇 평 안 되거나 옆으로 길거나 하는 정말로 쓸모없는 땅들이었다. 남들은 그런 땅을 쳐다보지도 않았다.


하지만 돈이 급한 사람들은 남들에게 멀쩡한 땅을 판 다음에 이 사람에게 와서는 이 땅이라도 사서 자기 급한 사정 좀 봐달라고 부탁했다. 그래서 주변 땅 값보다 절반정도 되는 금액에 그 사람 돕는 셈치고 땅을 사줬다고 했다. 그는 그렇게 땅을 사서 모았다. 그 땅을 산 돈은 여유자금이 었다. 생활비를 쓰고 남는 돈으로 남의 급한 사정이 있는 사람들을 도와준 것이다. 그러다보니 매달 땅이 늘어났고 수십 만 평의 주인이 되었다. 한 마디로 땅 부자가 된 것이다.


여유자금, 주식·땅, 적은 투자금


여기서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은 여유자 금이다. 생활비에 쪼들리면서 그걸 쪼개서 한 것이 아닌, 전세금 빼서 투자한 것이 아닌, 자신의 생활비를 쓰고 남으면 그 돈으로 투자를 한 것이다. 그러니 꾸준하게 땅을 늘릴 수 있었던 것이다. 또 생활에 쪼들리지 않으니 급하게 땅을 팔지 않아도 됐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저축으로 땅을 산 셈이다. 이 땅은 수십 배, 수백 배 오르는 땅이었다. 즉, 땅이란 종목 자체가 정해진 가격이 없어서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었다. 부동산에서 주택은 가격이 정해 져 있다. 이렇게 가격이 정해진 물건을 사서는 부자가 될 수 없다. 누구도 일정가격 이하로는 팔지 않고 누구도 일정가격 이상으로는 사지도 않는다. 이렇게 가격이 공산품처럼 정해진 상태에서는 누구도 싸게 살 수도 비싸게 팔 수도 없다.


그러니 부동산을 매번 사봐야 거래비용, 세금, 부대비용 제외하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 원래 크게 오르는 것이 아닌데다가 여러 가지로 뜯기니 비싸게 팔 수 없다. 그러나 가격이 정해지지 않은 주식이나 땅은 가격은 천차만별이고 정해지지 않아 수십 배, 수백 배 오를 수 있다. 가령 처음에 싸게 샀다고 치자. 이 사람 역시 땅을 살 때 남들이 쳐다보지 않는 쪼가리 땅이었다. 그래서 살 때부터 싸게 살 수 있었다. 이기고 투자한 경우다.


이런 경우 투자금이 적게 들어간다. 토지나 주식에 투자한 사람이 부자가 되는 이유다. 이 두 종목은 돈이 적게 들어가는 종목들로 액면가 자체가 그리 비싸지 않다. 땅도 큰 땅이 있다. 그런 땅은 돈이 많이 들어간다. 주식도 벅크셔헤서웨이 주식은 한 주에 2억5천만원이다. 이런 주식도 돈이 많이 들어간다. 그러나 대부분의 땅을 사거나 주식 투자는 돈이 크게 들어가지 않는다. 또 경매로 많이 떨어진 땅을 사거나 여러 가지 권리관계가 얽혀있는 땅을 사면 땅값이 아주 싸다.


어차피 어제 사서 오늘 팔 것이 아니니 당장 이용할 수 있는가 없는가는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러니 사고 나서 묵혀 둘 수가 있다. 주식도 마찬가지다 대부분은 몇 천원 혹은 몇 만원대에 산다. 삼성전자와 같이 100만원이 넘는 주식도 있지만 그렇게 비싼 주식은 별로 없다. 부자도 월급쟁이도 여유자금으로 살 수 있다. 그러니 평생을 꾸준히 사서 몇 십년 간을 모은다면 많은 땅과 주식을 확보할 수 있다.


꾸준히 사 모을 수 있는가


그럼 주택과 상가는 그렇게 꾸준히 사 모을 수 없는가? 그럴 수 있다. 주택을 전세가에 샀다가 다시 전세가격이 올라 그 차액만큼을 다시 주택을 사고 또 전세가가 올라서 다시 주택을 사고하는 일이 반복되면 이것도 마찬가지로 주택부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위험이 있다. 땅이나 주식은 융자나 전세 등의 레버리지를 이용하지 않았고 그 내재가치가 100배, 1000배 오를 수 있었는데 반해, 주택은 가격이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


게다가 위기상황이 오면 역전세난이나 이자 또는 대출금의 위험부담이 있다. 불황기에 사 모은 사람은 부자가 되지만 호황기에 주택을 사 모으다 갑자기 금융위기와 같은 위기가 닥치면 한 순간에 몰락한다. 2008년도 금융 위기가 닥쳤을 때 그런 사람들이 필자의 주변에도 많았다.


상가도 이런 경우가 있다. 필자의 한 지인은 대박상가 3채를 돌리며 매달 매출 3억이 넘어 순이익이 5천만원이 넘었다. 자신감이 붙자 그는 열달이 지나 면목 좋은 곳에 상가를 한 채씩 샀다. 순이익이 더 커진 것이다. 그렇게 상가 3~4개가 되니 같은 가격의 상가를 사는 기간이  더 단축됐다고 한다. 이익금으로 상가를 사고 또 사고를 반복하던 그는 나중에는 빌딩하나를  샀다.


그러나 이런 사람은 드물다. 왜냐하면 상가와 주택은 기본적으로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상가와 주택으로 저축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대박집 상가를 가지고 있다면 상가로 저축하면 금방 재벌이 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일반인들에게는 투자금이 적게 들어가는 주식과 땅이 부자가 되기에 유리한 구조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앞으로 유망한 땅을 사는 것이다. 쪼가리 땅을 사서 부자가 된 사람이 땅을 산 시기가 우리나라의 제조업 융성기와 맞물렸을 때이다. 곳곳에서 개발행위가 일어났고 도로, 교량 등 사회간접시설이 천지개벽하던 시기였다. 그는 몰랐겠지만 우리나라의 땅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 가장 개발이 많이 되는 시기와 맞물려서 땅을 저축했던 것이다.


게다가 땅은 강제저축의 개념이 들어간다. 쪼가리 땅을 샀으니 중간에 팔 수도 없다. 누가 사주지도 않는다.

다만 언젠가 100배가 되는 시점에 수용이 되거나 개발이 필요한 사람이 사가게 마련이다. 그러니 싸게 사고 많이 사고 개발이 많이 돼 수용, 매매가 되어 처음 산 가격에서 수십 배, 수백 배가 올라 팔 수 있으니 부자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부자가 되는 공식


시골의사 박경철 원장이 왜 주식의 신이 되었는가?

1990년대 초반 통신의 혁명이 일어나는 시기에 SKT의 주식이 3배 올랐는데 그는 팔지 않고 520배가 될 때 팔았기 때문이다. 그럼 왜 그는 520배 올랐 을 때 팔았을까?


2배 아니 5%만 올라도 팔라는 주식의 격언(?)이 난무하는 세상에서 말이다. 그는 통신혁명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러니 3배 정도 오르는 것은 혁명적인 사건이 아니었다. 그러니 당연히 3배 올랐을 때 팔지 않았던 것이다.


주식으로 부자가 되려면 꾸준히 사모아야 하지만 확실한 비전이 있어야 한다. 부자가 되는 공식을 다시 한 번 요약하면, 여유자금으로 많이 오를 종목(주식, 땅), 가격이 싼 종목(주 식, 땅), 가격이 정해지지 않는 종목(주식, 땅)을 사 고 처음부터 싸게 유망한 것을 사고 많이 오를 때에 가서 판다. 부자가 되고 싶다면 이점을 잊지 말자.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따릉이 타면 내년부터는 돈을 지급한다고요? ...“개인 자전거 이용자에게도 지급하라”
정부, “따릉이 이용자에게 탄소중립 포인트를 제공하겠다” 이용빈 국회의원, “개인 자전거 이용자에게도 포인트 지급하라” 서울시 따릉이와 같은 공공자전거를 이용하면 내년부터는 주행거리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받게 되어 현금처럼 사용하게 될 전망이다. 정부는 세계 자전거의 날(4월 22일)을 앞두고 15일 이와 같은 내용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공공자전거 이용실적에 따라 탄소중립 포인트를 지급하는 시범사업을 일부 지자체와 2025년에 추진 후 그 결과를 토대로 2026년부터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번 정부의 추진방안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대상은 공공자전거에 국한한 것에 대해 국회 탄소중립위원회 소속 이용빈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은 그 대상을 본인 소유 자전거 이용자들에게도 지급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용빈 의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자전거 교통수단 분담률을 높이는 방안에 소홀한 현실을 지적하며 “기후위기 시대에 기존 자동차 중심이 아닌, 보행자와 자전거 중심으로 정책을 전환하며 ‘자전거 대한민국’으로 만들어 가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 따라 수송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