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경제


저소득층 실질소득, 지난 13년간 고작 20만원 늘어나



2003년 이후 13년간 저소득층의 월평균 소득이 고작 20만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소득층은 월평균 소득이 같은 기간 179만원 증가해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됨이 확인됐다.


10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놓은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03년 이후 소득분위별 명목소득이 1분위 및 5분위에서 각각 연평균 3,5%와 4.2%씩 증가해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소득격차가 상당기간 지속돼왔다.


KDI에 따르면 2003년 이후 13년간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은 연평균 2.2%로, 소득 1분위(2.26%)와 소득5분위(2.22%)의 연평균 물가상승률은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격차는 2003년 이후 확대돼 최근까지 지속돼 2016년까지 13년간 소득 1분위와 5분위의 실질구매력 격차가 10% 이상 벌어졌다.


즉,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을 결정짓는 요소는 소득 차이라는 것이다.


2003년 이후 1분위의 실질소득은 연평균 1.20% 증가했지만, 5분위는 1.90% 늘어 매년 0.7%p의 구매력격차가 발생했다.


소득 1분위의 월평군 실질소득이 2003년 123만원에서 143만원으로 20만원 증가하는데 그친 반면, 5분위는 같은 기간 646만원에서 825만원으로 179만원 증가한 것이다.


이는 1분위의 60대 이상 가구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근로소득이 정체된 데 따른 것이다.


KDI는 “은퇴로 인한 노동소득이 감소한 60대 이상 가구 비중의 확대가 1분위 소득정채의 주요 원인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며 “실질근로소득이 1분위에서는 정체된 반면, 5분위에서는 꾸준하게 증가한 것이 실질구매력 격차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은 핵심 경제활동인구인 30~60세까지의 가구만을 비교 대상으로 한 경우에도 거의 차이가 없어 물가의 변화가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아니었다.


다만, 경기국면별로 경기 하강국면에서 소득 1분위의 물가상승률(2.71%)이 소득 5분위(2.54%)보다 소폭 높았고, 1분위의 경기 하강기 및 상승기 간 평균 상승률 격차(0.54%p)도 5분위(0.32%p)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실질소득격차에 따른 구매력 차이는 경기하강국면에서 저소득층의 소비생활을 더욱 위축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KDI는 “가계의 소비여력과 실질소득 불균형을 완화아기 위해서는 저소득층 중심의 소득개선 정책이 핵심”이라면서 “고령층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득여건을 개선해 소득분위별 구매력 편차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