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9일 수요일

메뉴

오피니언


<조던 칼럼> 레버리지의 위험성


보통 우리는 대출도 자산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포장된 말에 불과하다. 대출은 정확히 말하면 빚이다. 많은 사람이 주택과 상가 같은 부동산을 살 때 대출을 끼고 사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평균가격은 32평 기준으로 5억원이다. 가장 비싸다는 강남은 평당 평균가가 3,483만원으로 강북지역의 1,078만원 보다 월등히 높다. 그런데 부동산시장에서는 주택과 상가에 투자를 하고 나면 발을 뻗고 잘 수가 없다는 말이 있다. 그 이유는 가격이 높아서 대부분이 여유자금이 아닌 갭 투자를 하기 때문이다. 


상가 역시 마찬가지인데 적게는 3억원이 넘어가다 보니 결국엔 갭 투자를 선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3억원짜리 상가를 80% 대출(2억4,000만원) 받고, 4,000만원은 세입자 보증금으로 충당했다고 치자. 취등록세와 남는 비용만 들어간다고 전제할 때 대출 받은 2억4,000만원과 세입자 보증금 4,000만원은 갚을 수 있을 것인가 걱정이 될 수밖에 없다.


3억원을 매월 100만원씩 갚는다고 과정해 보자. 개월 수로 치면 약 300개월이 걸리고 연수로 치면 무려 25년이나 걸린다. 하나만 사서는 부자가 될 수 없으니 10개쯤 샀다고 치자. 이렇게 되면 약 250년을 대출 갚는 데 소비해야 한다. 문제는 내가 산 주택이나 상가가 공실로 남아 있는 경우다. 또는 세입자가 돈을 안 내서 은행에서 빌린 돈을 갚지 못하거나 KB 시세나 주변부동산의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가정해보자. 어지간한 강심장이 아닌 이상 편안히 발을 뻗고 잠자기는 애초에 포기해야 한다.


애초 레버리지 일으키지 말아야


이 모든 것의 원인은 레버리지 때문이다. 갚지도 못할 돈을 빌리고 시세가 상승하면 겨우 생활비를 쓰는 구조를 만들어가는 그런 위태한 생활을 만든 것부터가 잘못이다. 필자는 상가와 주택으로 재테크를 해왔으며 팔아야 할 것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공실이 나거나 월세가 밀리거나 시세가 하락했다는 소문이 들리면 불면증이 생긴다. 그렇다면 주식과 토지는 어떨까?


물론 주식과 토지도 빚을 많이 지고 투자를 한다면 잠이 올리 없다. 주식으로 잠이 오지 않는다는 것은 장기투자가 아닌 단기투자를 했다는 의미다. 돈을 빌려서 주식에 투자를 했는데 떨어졌으니 잠이 오겠는가. 또 3억원이상의 토지를 약 80%의 빚을 내서 샀다고 했을 때 생각했던 것처럼 팔리면 다행인데 안 팔릴 경우 잠이 안 온다. 그러니 주식은 꼭 여유자금을 가지고 해야 한다. 발을 뻗고 잠을 자려면 여유자금으로 주식에 투자해야 한다는 건 진리다.


그렇다면 토지는 어떨까?


3억원 이상의 토지가 아닌 농지연금 토지는 5,000만원이면 충분하다. 80% 대출을 받게 되면 4,000만원 정도 대출받으면 매달 10만원 내외의 이자가 나오기 때문에 부담도 적다. 농지연금 용도라면 1억원을 넘겨서 살 필요 또한 없다. 게다가 쪼가리땅을 사서 모으는 식으로 투자를 한다면 쓸모없는 땅을 몇백 만원에 낙찰 받을 수 있어 굳이 대출을 받을 필요도 없다. 여유자금으로 돈이 생길 때마다 하나씩 모으면 되기 때문이다.


 MeCONOMY magazine June 2017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조국 “이태원 참사,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될 비극...그날 밤, ‘대한민국’ 없었다”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9일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아 “항상 159명의 희생자를 기억하겠다”고 밝혔다. 조국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참사의 기억이 흉터로 남아 있는 수많은 분들의 아픔이 아물 수 있도록 실천으로 애도하고, 실천으로 응답해 나가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조 위원장은 이어 “이태원 참사는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될 비극이었다”며 “그날 밤, ‘대한민국’은 없었다. ‘국가의 실패’로 159명의 소중한 생명이 쓰러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권은 이태원 참사를 지우려 했다. 정부 합동 감사 결과는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책임을 정확하게 기록했다”면서 “참사 당일, 경찰은 대통령실 주변을 경비하느라 이태원 현장에는 단 한 명의 경비 인력을 배치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 결정의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 대통령 윤석열과 국민의힘은 추모대회에 참석하지 않았다”며 “희생자와 유가족에게 혐오와 차별의 공격이 가해짐에도 윤석열 정권은 방치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이태원 참사는 끝나지 않았다. 이재명 정부와 국회가 모든 책임을 다해서 대한민국이 정상화됐다는 것을 유가족과 국민들에게 분명하게 보여드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