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경제


소득 하위 20% 현물 복지, 소득 60% 늘리는 효과

 

국가나 민간단체에서 제공하는 현물 복지가 소득 하위 20%의 소득을 60% 정도 늘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적 현물 이전을 반영한 소득 통계 시험작성 결과’에 따르면 2016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평균 466만원으로, 이를 통해 소득증가율이 15.7% 늘어나는 효과가 있었다.

 

사회적 현물 이전이란 국가·민간 비영리단체 등이 가구 또는 개인에게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로서, 무상교육·보육, 의료혜택, 기타 바우처 등을 말한다.

 

통계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에서도 사회적 현물 이전이 가구의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 작성을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6년 국내외 연구사례 및 학계·연구원 등 관련자 자문을 통해 연구 방향을 설정하고 기초자료 수집 및 시험작성 등 작성방법에 대한 기초연구를 시작해 지난해와 올해 시험작성 등 방법론 검증을 거쳐 이번에 결과는 낸 것이다.

 

통계청은 ▲의료 ▲교육 ▲보육 ▲공공임대주택 ▲국가장학금 ▲기타 바우처 등 6개 서비스 부문에 대해 기초자료를 생성하고 소득을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2016년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전년대비 8.2% 증가해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이 반영된 조정처분가능소득은 같은 기간 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은 교육과 의료로, 각각 52.8%와 38.4% 등 전체의 91.2%였다.

 

소득 1분위에서는 의료의 비중이, 2분위 이상에서는 교육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사회적 현물 이전으로 인한 소득증가는 소득이 낮을수록 큰 효과를 보였다.

 

2016년 소득 1분위의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은 523만원으로, 처분가능소득 875만원의 59.8%에 달했다.

 

소득 2분위는 처분가능소득 1,764만원 중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 481만원이 차지하는 비중이 27.3%였고, 소득 3분위는 18.4%(처분가능소득 2,547만원,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 468만원), 소득 4분위 12.9%(3,506만원, 453만원), 소득 5분위 6.5%(6,179만원, 403만원)였다.

 

 

소득분배 효과도 컸다.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으로 2016년 지니계수는 0.357에서 0.307로 13.9% 개선됐고, 소득5분위배율은 7.06배에서 4.71배로 33.3% 감소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17.9%에서 12.2%로 31.4% 낮아졌다.

 

소득5분위배율은 소득 상위 20%의 평균소득을 소득 하위 20%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고,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 인구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의 중위소득 50%(빈곤선) 이하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한국의 사회적 현물 이전 소득에 의한 소득증가와 지니계수 개선 효과는 OECD 27개국 평균(소득증가 29.0%, 지니계수 20.0%)에 비해 작은 편이었지만, 소득5분위배율(29.0%)과 상대적 빈곤율(10.0%)은 OECD 27개국 평균을 웃돌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여성농민회총연합·전종덕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 촉구”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15일 ‘여성농민의 날’을 맞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농민 법적 지위 보장 및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을 촉구했다. 국회 농해수위 위원인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이날 “농가인구의 51.1%, 농사일의 50.2% 등 여성농민이 농업농촌의 절반을 차지하는데도 법과 제도는 농가중심 구조에 머물러 정책결정 참여에 제한되거나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표적으로 정부에 여성농업인 전담부서가 임의조직으로 되어있고 농어업경영체에 공동경영주로 등록하더라도 법적 지위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법과 제도로 여성 농민의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농어업인 육성법’ 개정에 나서 농정의 중심에 여성 농민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은 “여성농민이 ‘한 사람의 농민’으로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은 농업정책과 마을, 법인, 지자체 모든 영역에서 여성농민의 목소리가 정책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정치적 권리 문제인 만큼 전종덕 의원과 함께 법, 제도를 만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