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


‘마이크로바이옴 포스트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 NS홈쇼핑서 첫 론칭

 

건강기능식품 전문 유통사 (주)뉴라이프헬스케어는 ‘마이크로바이옴 포스트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를 오는 18일 오전 8시20분에 NS홈쇼핑을 통해 처음 론칭한다고 10일 밝혔다.

 

제품은 12개월분(2개월분×6병) 세트로 판매되고, 가격은 정상가보다 약 25% 할인된 19만8,000원(무이자 10개월)이다. 일시불로 구매할 경우에는 18만9,000원이다.

 

이번에 론칭하는 ‘마이크로바이옴 포스트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는 특허균주 2종(주원료)에 유산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와 유산균배양건조물을 부원료로 전부 함유하고 있다.

 

장은 단순히 음식의 소화와 영양분 흡수, 음식물을 배출하는 기능 외에도 70% 이상의 면역세포가 존재해 인체 면역력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장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프로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조사에 따르면 2018년 국내 프로바이오틱스 시장 규모는 약 4,700억원에 달하며 건강기능식품 가운데 홍삼, 비타민 및 무기질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마이크로바이옴 포스트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는 유산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등 건강한 장내 환경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품에 함유된 유산균배양건조물은 프로바이오틱스가 프리바이오틱스를 먹고 생산해내는 생성물질로, 효소, 펩타이드, 다당체, 유기산, 단쇄지방산, 단백질 등 사람에게 유익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미국 및 유럽에서는 이를 ‘포스트바이오틱스’라고 하는데, ‘포스트바이오틱스’는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위산과 담즙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장에서 바로 흡수돼 면역조절, 항염, 항산화, 항콜레스테롤, 항비만 등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특허균주 2종은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CBG-BB002(특허번호 10-1446309, 공액리놀레산 생산)’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BG-LB006(특허번호 10-1274467)’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은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기능을 인정받았다.

 

이밖에 기탁균주로 안전성이 검증된 복합유익균 V20, 19종 혼합 유산균, 5종 혼합 유산균이 부원료로 포함됐다.

 

(주)뉴라이프헬스케어 관계자는 “프로바이오틱스와 부원료로 프리바이오틱스, 유산균배양건조물을 함유한 ‘마이크로바이옴 포스트바이오틱스 프로바이오틱스’를 통해 온 가족의 장 건강을 챙기시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홈쇼핑을 통한 론칭을 준비했다”며 “24개월 상온보관이 가능한 제품이기 때문에 보관이 간편하며 하루에 한 알만 섭취하면 돼 간편하게 장 건강을 챙길 수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