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일본인 국내 여행객, 4년간 1,437만명 덜 오고 12조3,705억원 덜 썼다

2015~2018년 기준, 한국인 일본 여행 2,377만명, 일본인 국내 여행 939만명 그쳐
1인당 여행객 소비금액도 한국인이 10만원 더 높아
김두관 의원, 국내 중소도시의 관광상품 개발위해 지원책 마련 필요

 

최근 4년동안 한국인 여행객이 일본에서 쓴 금액이 일본인 관광객이 한국에서 소비한 금액의 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기획재정위원회 김두관 의원(김포시 갑)에게 한국관광공사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일본인이 한국으로 온 여행객은 939만5,649명인데 반해, 한국인의 일본 여행은 2,377만1,787명으로 나타났다. 일본인 여행객이 한국으로 1,437만명 적게 여행을 온 것이다.

 

그리고 연평균 원/달러 환율 기준으로 여행수지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여행객이 일본에서 쓴 금액은 4년간 18조8,158억원인데 반해, 일본인 여행객이 한국에 와서 사용한 금액은 6조4,453억원으로 여행수지 적자금액이 약 12조3,705억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국민의 일본 여행은 2015년에 400만2,095명에서 2018년에는 753만8,952명으로 3년간 353만6,857명 증가했지만, 일본인의 우리나라 여행은 2015년도에 183만7,782명에서 2018년에는 294만8,527명으로 111만745명 증가에 그치고 있다.

 

 

연도별 한국인과 일본인 여행객의 상대국가에서의 소비액을 보면 2015년도에 한국인이 일본에서 여행하면서 소비한 1인당 소비액이 19만630원 많았으며, 2016년도에는 11만9,590원 2017년에는 5만980원, 2018년에는 9만2,830을 더 소비했다.

 

4년간 일본인 여행객이 국내에서 사용한 1인당 평균 소비액은 4년 평균 약 68만5,990원인데 반해, 우리국민이 일본에서 지출한 1인당 평균 소비액은 약 79만1,520원인 것으로 나타나 약 10만5,530원 더 많이 지출한 셈이다.

 

K-POP 열풍과 드라마와 영화 해외 수출 등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음에도 우리국민들의 일본 여행보다 일본인 여행객의 우리나라 여행자수가 크게 적은 상황이다.

 

 

김두관 의원은 “최근 4년간 일본여행수지 적자가 12조원에 이르고 있고, 일본 여행을 가는 여행객 상승률도 가팔랐다”며 하지만 최근 한일 관계 악화로 일본으로 가는 여행객 수가 감소하고 있어 이러한 흐름이 일단 멈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한류열풍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이 유입되고 있지만, 서울과 부산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며 “국내 중소도시의 관광상품 개발과 지역 특색 활성화 등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관광상품 홍보와 활성화를 위한 대책마련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