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한경연 “韓 신성장산업, 성장세 빠르나 기업 규모, 美·日보다 절대 약세”

최근 우리나라 기업성장률이 규모가 더 큰 미국, 일본보다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근래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헬스케어(HS), IT, 커뮤니케이션 서비스(CS) 분야에서 우리나라 기업과 미국, 일본 기업간 규모 차가 매우 커 규제개혁을 통한 기업 성장의 모멘텀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한·미·일의 최근 기업 성장 분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자산증가율로 대표되는 우리나라의 최근 기업 성장세가 경제 규모가 더 큰 미국, 일본보다 낮고, 이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한경연이 S&P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18년 OECD 국가들의 금융 부문을 제외한 상장기업의 총자산(달러 환산 기준) 증가율을 계산한 결과 우리나라는 1.72%로 OECD 중간 수준을 차지했는데, 이는 경제 규모가 훨씬 더 큰 미국(5.92%), 일본(10.76%)보다 낮았다.

 

이에 대해 한경연은 기업성장률과 경제성장률 간 뚜렷한 정(+)의 관계가 있다고 분석하며 지금까지의 경제성장률을 볼 때 올해 기업성장률은 더욱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태규 연구위원은 “현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는 기업이 부가가치의 대부분을 창출하기 때문에 기업 성장이 둔화된다는 것은 부가가치 증가의 둔화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관련해서 한경연은 한국이 신성장산업으로 일컬어지는 HS, IT, CS 부문 기업성장률이 전체 산업 평균보다 훨씬 더 높게 나타나는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산업에서의 기업 규모는 아직 미국, 일본에 크게 못 미치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한·미·일 모두 전체 상장기업의 총자산 중 HS, IT, CS 등 신성장산업 기업의 자산 비중이 높아지는 산업구조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신성장산업의 비중은 미국이 가장 높고, 변화속도 역시 미국이 가장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HS, IT, CS 부문에서 각국의 1등 기업 규모(2018년 자산 기준)를 비교한 결과 HS 부문에서 한국은 일본보다 성장세가 빨랐지만, 일본 1위 HS 기업의 규모는 한국 1위 HS 기업의 9.4배였다.

 

미국과 비교했을 때는 모든 부문에서 1위 기업 간 규모 차이는 더욱 벌어졌다. 소프트웨어의 경우 미국 1위 기업과 한국 기업의 규모 차이는 445.5배에 달했다.

 

다만, 일본의 경우 CS 부문의 기업 성장이 두드러졌고, HS, IT 부문의 비중은 오히려 감소했다.

 

이 연구위원은 “미국경제는 그 규모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혁신적 기업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등 산업구조의 변화가 한·미·일 세 나라 중 가장 역동적”이라며 “2018년 경상 GDP 기준으로 일본은 한국의 약 3.1배, 미국은 약 12.7배 경제 규모인데, 상당수 산업에서 한국과 미국·일본 간의 기업 규모 격차는 전체 경제 규모 격차를 훨씬 상회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빠르게 성장하는 HS, IT, CS 산업에서 미국, 일본과의 기업 규모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관련 규제, 원격의료 규제 등 신성장 분야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해묵은 규제의 개선이 절실하다”면서 “세계 1위 거대 규모의 미국경제가 산업구조 변화를 빠르게 가져갈 수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