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메뉴

경제


한경연 “재정적자·정부채무 건전성, 지금부터 관리해야”

재정위기 겪은 그리스·포르투갈, 고령화 초입 복지지출 韓 만큼 낮아

 

우리나라는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향후 복지지출이 급격하게 지출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현재 한국은 복지를 제외한 재정 규모가 OECD 국가에 비해 작지 않은 수준이기 때문에 재정 건전성을 지금부터 신중하게 관리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6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옥동석 인천대학교 교수에게 의뢰한 ‘한국의 재정 운용 진단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GDP 대비 복지지출은 지난해 11.1%로. OECD 평균(20.1%)의 절반이지만, 노년부양비를 고려했을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스는 1980년 노년부양비가 지난해 한국(19.8%)과 비슷한 수준이었는데, 당시 GDP 대비 복지지출은 9.9%로 한국보다 낮았다.

 

그러나 2018년 복지지출은 23.5%로 38년 만에 2.4배 늘었다.

 

우리나라는 향후 복지제도가 확대되지 않는다고 가정해도 세계에서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빨라 40년 후에는 GDP 대비 복지지출이 27.8%(2060년)로 2.5배 치솟을 전망이다.

 

이는 재정위기를 경험한 그리스(23.5%)나 포르투갈(22.6%)보다도 높은 것이다.

 

옥 교수는 “복지정책을 펼 때 미래전망을 고려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고령화로 향후 복지지출이 급증해 재정의 지속가능성이 불투명하다”고 평가했다.

 

 

우리나라의 GDP 대비 재정 규모는 지난해 33.5%로, OECD 평균 42.7%보다 낮지만, 복지지출을 뺀 ‘GDP 대비 비복지 재정규모’는 우리나라가 22.4%로 OECD 평균 21.5%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비복지 재정 규모는 이탈리아(20.7%), 영국(20.2%), 미국(19.1%)보다 크다.

 

우리나라는 인구구조가 젊어 복지지출이 적기 때문에 당장은 재정 규모가 작아 보이지만, 향후 고령화에 따른 복지지출 급증으로 재정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OECD 국가 중 비기축통화국의 GDP 대비 정부채무 비율은 평균 53.7%(16개국)로, 기출통화국 평균 95.6%(20개국)의 절반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달러와, 유로화, 엔화 등을 사용하는 기출통화국의 경우 발권력이 뒷받침되기 때문에 재정 여력이 상대적으로 크지만, 비기축통화국은 발권력에 한계가 있어 재정건전성 확보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축통화가 아닌 원화를 쓰는 우리나라의 GDP 대비 정부채무 비율은 43.2%로, OECD 평균(77.0%)보다 낮지만, 호주 달러를 쓰는 호주(42.5%), EU에 속하나 유로화를 쓰지 않는 스웨덴(48.0%), 스위스(42.9%) 등 주요 비기축통화국과는 비슷하다.

 

옥 교수는 “우리나라는 기축통화국이 아닌 소규모 개방경제이기 때문에 재정건전성이 탄탄해야 대외신뢰도와 거시경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당장 내년부터 매년 30~50조원 재정적자가 나고, 적자국채 발행이 늘어 정부채무가 2023년 1,0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라며 “우리나라는 기축통화국이 아니고 초고속 인구 고령화로 향후 복지지출이 급증하기 때문에 재정적자와 정부채무를 지금부터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복지부문을 빼면 우리나라 재정 규모가 OECD 14위로 작지 않다”면서 “예산확대 관련 속도를 조절하고, 예산이 일회성으로 소비되지 않고 경제활력 제고 등 성과로 이어지도록 예산의 용처와 효과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정부 “소비쿠폰 URL 포함 문자 클릭 금지…무조건 스미싱”
정부는 14일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관련해, 카드사·은행·정부를 사칭한 스미싱 문자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문자에는 소비쿠폰 지급 대상이나 금액 안내, 카드 승인·신청 등을 가장하며 URL을 클릭하도록 유도하는 사례가 있으며, 이를 누르면 악성 앱이 설치돼 금융정보와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 정부와 카드사, 지역화폐사는 2차 소비쿠폰과 관련해 URL이나 SNS 링크가 포함된 안내 문자를 발송하지 않기로 했다. 배너 링크나 푸시 알림 등도 제공하지 않는다. 앞서 1차 소비쿠폰과 관련해 관계기관이 탐지한 스미싱 건수는 430건으로 집계됐다. 대부분 불법 도박 사이트 연결이나 개인정보 탈취형 앱 설치를 유도하는 유형이었다. 특히 개인정보 탈취형 악성 앱은 감염 후 주변인에게 문자를 재전송하는 기능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스미싱 의심 문자 수신이나 URL 클릭 후 악성 앱 감염이 의심되면, 24시간 무료 운영되는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상담센터(☎118)에 신고할 수 있다. 2차 소비쿠폰 시행 전에는 통신사 명의로 스미싱 예방 안내 문자가 순차 발송되며, 온라인 신청 페이지에도 주의 문구가 포함된다. 또한 은행과 주민센터를 통한 대면 신청 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