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파이널 유세’ 오세훈, 신촌 찾아 2030 표심 공략 집중

안철수, 나경원, 김종인, 주호영, 유승민 등 야권인사 총출동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는 4·7 재보궐 선거를 하루 앞둔 6일 마지막 유세현장으로 젊음의 거리 신촌을 찾아 이번 선거에서 핵심 투표층으로 떠오른 2030세대의 지지를 호소했다.

 

오 후보는 이날 저녁 서대문구 신촌 현대백화점 유플렉스 앞에서 열린 파이널 유세에서 “정말 꿈만 같다”며 “20대, 30대 청년들이 저에 대한 지지연설을 하고 국민의힘에 기대를 걸어준다는 건 상상도 못했던 일”이라고 말했다.

 

이는 최근 감지되는 20대들의 ‘반문’ 정서 등이 야당 지지로까지 이어졌다는 뜻의 발언으로 풀이된다. 오 후보는 “1년 전 우리 당은 국민으로부터 버림받은 정당이었다”며 “(21대 총선에서) 100석 남짓의 의석을 얻고 민주당이 어떤 법을 통과시키더라도 저지할 수 없는 소수정당으로 전락했었다”고 과거를 회상했다.

 

 

오 후보는 “그런데 이렇게 청년층의 지지를 받으니 저는 몹시 두렵다. 청년들은 저에게 ‘국민의힘이 마음에 들어서가 아니다. 오세훈이 잘나서가 아니다. 문재인 정부의 무능과 위선에 지쳤다. 그래서 오세훈에게 기회를 한번 주려고 할 뿐이다. 똑바로 하라’고 주문했다”며 “제가 서울시에 들어가면 불공정하다는 이야기가 나오지 않도록 반드시 공정한 서울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이어 “청년들은 또 ‘제발 분열의 정치 하지마라. 문재인 대통령이 국민 갈라치기로 통치하는 행태를 보고는 대한민국의 밝은 미래를 상상할 수 없었다’고 했다”며 “제가 시장이 되면 저와 경쟁했던 안철수 후보와 손잡고 반드시 통합과 화합의 서울시를 만들겠다”고 했다.

 

또 오 후보는 “청년들은 저에게 ‘국민이 뼈 빠지게 낸 세금 제발 아껴 써달라’고도 하더라”며 “어떤 후보는 당선되면 10만원 씩 나눠주겠다고 하는데 저는 한푼 한푼 아껴서 10년 동안 멈췄던 서울을 반드시 다시 뛰게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 2030 젊은층이 우리를 지켜보기 시작했다. 저와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이 좀 차이난다고 해서 긴장을 풀지 않겠다”며 “당선되면 반드시 안철수 대표와 함께 공정과 화해, 공존의 정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반드시 서울시민들께 보여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유세현장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나경원 전 의원,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원내대표, 유승민 선대위 상임부위원장 등 야권인사들이 총출동해 화력을 집중했다.

 

마지막 유세를 마친 오 후보는 동대문 남평화상가 상인들과의 간담회를 끝으로 선거운동을 끝낸다. 이로써 지난달 25일 부터 13일 동안 펼쳐진 공식 선거운동은 오늘 자정 마무리 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