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기업의 70% 이상이 국제 유가가 150달러를 초과할 시 적자로 전환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전문업체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151개 기업 응답)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27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제 유가 급등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묻자 현재 유가 수준인 배럴당 100달러에서 적자로 전환된다고 답한 기업은 13.2%였다. 적자 전환에 분기점으로 예상되는 평균 유가는 배럴당 142달러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응답기업의 80.1%가 유가 상승이 기업경영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답했고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답한 기업은 없었다. 모든 응답기업이 유가가 200달러를 넘어설 경우 공장 가동 중단까지 고려할 수 있다고 답했다.
응답기업의 76.2%는 유가상승으로 인해 영업이익이 평균 5.2% 감소할 것이라 내다봤다. 또한 76.2%의 기업은 실제 투자계획을 축소할 것이라 밝혔고 평균 축소규모는 2.7%였다. 반면 5%이내로 투자를 확대할 의사를 보인 기업은 21.8%로 조사됐다.
유가상승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 같은지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84.6%가 6개월 이내로 예상했다.
응답기업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의한 피해로 ‘원유 수급 및 유가상승(37.1%)’, ‘석유화학 원자재 수급 및 가격상승(27.1%)’, ‘러시아 금융제재로 인한 대금 거래 애로(12.6%)’ 등을 꼽았다.
응답기업들이 필요하다고 뽑은 정부정책으로는 ‘에너지 외 원가절감(32.8%)’, ‘제품 가격 인상(24.3%)’, ‘전기 등 대체 에너지 사용 확대(11.2%)’ 등이 있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최근의 유가 상승이 장기화되거나 유가가 150달러 이상으로 급등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된다”며 “정부는 기업 부담 완화를 위해 원유·LNG 등의 관세를 인하하는 한편,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를 위해 노력해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