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메뉴


갈매기와 백로의 왕국, 중국 산둥성 영성시 ‘해려도’

 

중국 대륙 최동단에 위치해 ‘중국 속의 한국’이라 불릴 정도로 한국과 거리상으로 가까운 산둥성 웨이하이 영성시(榮成市). 중국 대륙에서 한국과 가장 가까운 영성시는 3면이 바다로 둘러 싸여 있어 해양자원이 아주 풍부한 도시다.

 

영성시에 위치한 석도항(당시 적산포)은 통일신라시대 바다를 주름 잡으며 당(唐)과 신라, 일본 사이의 무역을 중계하고, 교역을 위해 바다를 건너는 선단을 대상으로 노략질을 일삼던 해적으로부터 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던 ‘해상왕’ 장보고 장군이 전라남도 완도군에 설치한 진(鎭)인 ‘청해진(淸海鎭)’과 함께 중국에서 무역의 거점으로 삼았던 곳이기도 하다.

 

당시 장보고는 이곳에 살고 있는 신라인들을 규합하고 이들을 하나의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적산법화원(赤山 法華院)’이라는 사찰(寺刹)을 세웠는데, 현재 이곳에는 중국인들이 장보고 장군을 기억하고 기념할 수 있는 장보고 동상과 그의 생애, 업적을 자세히 소개하는 전시관이 마련돼 있다.

 

 

갈매기와 백로의 왕국 ‘해려도’

 

이번에 소개할 곳은 영성시의 ‘해려도(바다 위 당나귀섬)’이다. 중국 현지에서 '해려도'는 흥미로운 전설과 미묘한 자연경관이 어우러지면서 ‘바다 위의 선산, 갈매기와 백로의 왕국”으로 불린다.

 

관광객들은 유람선을 타고 섬을 돌면서 오랜 신화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데 수 천 수 만 마리의 흑꼬리갈매기와 노랑부리백로, 그리고 바다표범은 이 섬의 큰 볼거리다. 현재 '해려도'에는 국제적 보호조류인 노랑부리백 1천여 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노랑부리백로는 몸길이가 68cm, 몸 전체가 흰색, 눈은 흐린 노란색이다. 여름 깃의 경우 뒷머리에 20가닥 이상의 8cm정도의 장식깃이 있고, 부리는 진한 노란색이다. 또, 눈 앞부분은 푸른색을 띠고, 다리는 검은색, 발은 노란색이다. 겨울 깃은 장식깃이 없어지고 부리는 흑갈색, 다리는 노란색을 띤 녹색이며 갈색을 띠기도 한다. 걷거나 서 있을 때 다른 백로류에 비해 몸을 곧추 세우는 편이고, 앞쪽으로 높이 올리는 다리의 움직임이 특징적이다.(네이버사전)

 

한국도 지난 2011년 노랑부리백로를 위기종(EN)으로 평가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 섬 전체가 볼거리 ....잊지 못할 추억 만들기 충분 

 

'해려도' 섬 전체는 군락을 이룬 부용꽃과 갈대풀, 야생대추나무들이 흰 새들과 조화를 이룬다. 특히  기묘한 절벽과 산봉우리는 관광객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중국 정부 관계자는 "야생조류를 보호하고 최적의 서식지의 생태환경 보존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해려도는 중국 흑꼬리갈매기의 고장으로 불리기에도 손색이 없다"며 "해마다 3월 중순에서 8월 중순까지 이곳에서 서식하는 흑꼬리갈매기는 4만 여 마리를 초과한다"고 덧붙였다.

 

관광객들이 해려도를 찾는 이유 중 하나는 유람선에서 바라본 옅은 안개 속에 묻힌 '해려도'의 풍경이다. 시원한 해풍과 함게 체험해 보는 갈매기 먹이주기, 초석 위에서 느긋하게 쉬고 있는 바다표범과의 만남 등은 잊지 못할 추억을 안겨주기에 충분하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민노총 발전노동조합, 한전 해고자 전원복직 촉구 집회 열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산하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은 3일 오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해고자 복직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한국전력으로부터 해고당한 뒤, 길게는 24년간 현장으로 돌아가지 못한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즉각적인 복직을 이재명 정부에 촉구했다. 제용순 발전노조 위원장은 2002년 38일간의 총파업으로 정부의 발전소 민영화를 막아냈으나, 이러한 투쟁으로 해고된 6명의 조합원이 23년간 복직하지 못하고 퇴직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제 위원장은 “단 하루를 일하더라도 원직 복직으로 명예를 회복시켜야 한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시작한 해고자 복직을 이재명 정부가 마무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제 위원장은 지난해 8월 15일 해고된 181명의 도서전력지부 조합원 문제도 제기했다. 제 위원장은 이들이 2023년 6월 법원으로부터 불법파견을 인정받았으나, “한전이 항소하고 소송 취하와 자회사 전적을 강요하며 이를 거부한 이들을 해고했다”고 비판했다. 고기석 공공운수노조 수석부위원장은 발전사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정부의 민영화 정책에 맞서 파업했다는 이유 등으로 해고 상태에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한전이 도서전력지부 근로자들을 해고한 사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