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제22대 수원문화원장'에 김봉식 문화원장 취임

김봉식 신임 문화원장, 전임 원장 성과 계승하고 한 단계 더 발전하는 문화원 확립 할 터
‘125만 특례시에 걸맞은 문화원위상 확립’ 등 5가지 굵직한 사업 추진
이재준시장, 시민이 주도하는 문화 융성의 견인차로 더 크게 도약 희망

 

수원 문화원은 1957년 10월28일에 문을 연 이후 지역문화를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초대 문화원장으로 김한복 원장이 취임을 했고 전쟁이 끝난이후 가장 어려웠던 시절인 1960년 8월22일까지 헌신적으로 일해오며 수원문화원의 초석을 마련했다.

 

향토사 발굴 및 향토문화 보전과 전승에 일익을 담당했고 어려운 시기 문화예술 행사 등을 추진해 시민들에게 큰 위안을 안겨 주었다.

 

특히 수원문화원은 수원시의 큰 자랑거리인 정조대왕이 세웠던 수원의 뿌리라고 할수 있는 ‘수원 화성’을 복원시키는데 발벗고 나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냈다.

 

이에 ‘수원 화성’이 지난 1997년 12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디딤돌을 놓아 수원이 문화관광 도시로 발전하는데도 큰 기여를 했던 것이다.

 

따라서 수원문화원 창립은 수원 현대 문화계 형성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고 수원문화원의 역사는 현대 수원의 문화발전사라도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수원문화계에 큰 업적을 이뤄논 단체다.

 

 

특히 수원문화원은 오는 2023년 하반기 목표로 호매실동에 연면적 5천여 ㎡, 지하1/지상3층 규모로 신청사 건립공사가 한창 진행중이어서 제2의 비상을 준비하고 있다.

 

그런 수원문화원 제22대 원장에 김봉식 신임 수원문화원장이 27일 취임했다.

 

이날 오후 수원문화원 대강당에서 열린 취임식에는 18~21대 문화원장을 지낸 염상덕 전 문화원장과 이재준 수원시장, 길영배 곽호필 수원문화원 이사 등 문화원 관계자와 시민 등 6백여 명이 참석했다.

 

취임식에서 김봉식 문화원장은 “염상덕 원장께서 지난 12년간 수원문화원장으로 재임하시면서 염태영 전 수원시장과 함께 수원의 문화를 높이 올려 문화도시 수원으로 위상을 높혔다”고 감사의 뜻을 전했다.

 

김 원장은 따라서 “염 원장님 재임시절의 성과를 계승하고 한 단계 더 발전하는 문화원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앞으로 ▲수원문화원사 건립과 수원문화 발전 기반조성 ▲125만 특례시에 걸맞은 문화원위상 확립 ▲수원공공 문화기관과 문화예술단체와 교류 추진 ▲수원문화예술 창작활동 지원 ▲수원문화원 국제화 추진 등 큰 사업들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비전을 제시했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은 축사를 통해 “수원문화원의 역사는 현대 수원의 문화발전사 그 자체라”며“앞으로 수원문화원이 수원 문화의 가치를 지키는 버팀목이자 시민이 주도하는 문화 융성의 견인차로서 더 크게 성장하고 도약하기 희망한다”고 말했다.

 

염상덕 원장은 이임사에서 “70대의 10년을 수원문화원의 원장으로서 청년으로 살 수 있는 축복을 누렸다”며“새로 취임하는 문화원장께서 새로운 사업을 모색하고 시행하여 수원문화원의 위상을 더욱 높혀 달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특별법 '유효기간 2년 연장' 법안 통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이 이번 달 말로 일몰되는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는 내용을 담아 대표 발의한 개정안이 지난 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국회 본회의에서 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 및 지원 기간이 2년 더 늘어나면서 전세사기 피해자 구제 공백 우려가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행 '전세사기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은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하고, 주거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23 년 6 월부터 시행됐다. 그러나 특법법의 유효기간은 2025년 5월 31일로, 이번 달이 지나면 만료되어 이후 발생하는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국토교통부 전세사기피해지원위원회에서 밝힌 자료에 따르면, 1일 기준 전세사기 피해자로 인정된 자는 2만9,540명으로 3만명에 육박하고 있으며, 지난 달에만 874건이 추가되는 등 여전히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사례가 확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전세사기로 인한 피해와 구제 필요성은 지속되고 있어 피해자 인정 및 지원 기간을 늘리고 주거와 금융, 법적 절차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