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3 (목)

  • 구름많음동두천 19.7℃
  • 흐림강릉 13.3℃
  • 구름많음서울 19.1℃
  • 대전 15.1℃
  • 대구 15.1℃
  • 울산 13.2℃
  • 흐림광주 16.7℃
  • 부산 15.9℃
  • 흐림고창 12.2℃
  • 흐림제주 14.6℃
  • 구름많음강화 19.0℃
  • 흐림보은 15.9℃
  • 흐림금산 15.0℃
  • 흐림강진군 15.8℃
  • 흐림경주시 12.9℃
  • 흐림거제 15.8℃
기상청 제공

정보


휴게소 매출 상위 10개 품목, 대부분 작년 설보다 가격 올려...호두과자는 11.8%↑

유경준 의원 “도로공사는 설 귀향객 부담 덜수 있도록 노력해야”

 

고속도로 휴게소 매출 상위 10개 품목의 평균가격이 작년 설 기간에 비해 대체로 상승했으며, 일부 품목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 보다 높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공사가 가성비 좋은 메뉴로 선정한 ‘실속메뉴’ 또한 작년 여름 32.6% 까지 가격을 인상했다. 작년 국정감사 지적에도 불구하고 도로공사의 노력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고속도로 휴게소 매출현황에서 ‘전국 휴게소 매출 상위 10 개 품목 평균가격’ 을 비교한 결과, 휴게소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아메리카노의 경우 2022년 설 (2022.1.31.~2.2) 평균가격이 4,251원이었으나 2023 년 1 월 초(2023.1.1.~1.9.) 4,435 원으로 4.3% 올랐다.


다음으로 많이 팔린 호두과자의 경우 4,309원에서 4,818원으로 11.8% 올랐다. 호두과자 가격의 경우 매출 상위 10 개 품목 중 가장 큰 폭으로 올랐으며, 스낵류, 로스팅원두커피가 각각 8.0%, 7.5%로 뒤를 이었다.

 

2022년 설 연휴기간 동안 코로나 19로 판매가 중지됐던 식사류(국밥, 돈가스, 어묵우동)의 경우에도 2022년 추석에 비교했을 때 소폭 상승했다.

 

2022년 1월 소비자물가지수(외식물가)의 유사품목과 비교했을 때에도 고속도로 호두과자, 로스팅원두커피 가격 상승은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높게 상승했다 .

 

2022년 1월 대비 12월 소비자물가지수 (2023년 1 월의 경우 미발표)와 비교했을 때 고속도로 휴게소의 아메리카노, 로스팅원두커피, 커피품목 평균, 국밥 모두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상회했으며 반대로 카페라떼, 호두과자, 스낵, 커피음료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가 더 높게 상승했다 . 2022년 설 연휴 기간 동안 판매가 중지됐던 돈가스, 어묵우동의 경우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높게 상승했다.

 

한국도로공사가 ‘가성비 좋은 메뉴’ 라고 선정한 4,900~5,500원대 실속 메뉴 (실속-EX FOOD) 품목 또한 작년 7월 코로나 19 거리두기 완화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33개 품목 중 22개 품목의 가격을 18.2~32.6% 올렸다.

 

도로공사는 물가수준 반영을 고려한 것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반찬 수 증가 등을 통한 인위적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유 의원은 “작년 국토위 도로공사 국정감사에서 여야 할 것 없이 도로공사 퇴직자 단체인 도성회의 휴게소 운영, 휴게소 물가 인하 대책을 지적했음에도 당시 김일환 사장대행이 약속한 TF 는 회의는 4차례에 불과하며 회의록도 존재하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며 “코로나 19 거리두기 종료 후 맞는 첫 설 연휴를 앞두고 많은 귀향객들이 고속도로 휴게소를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상품 가격과 서비스 개선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GS건설 "안전해" vs 주민들 "불안"...'펑' 하더니 기둥 일부 날아간 서울역 센트럴자이
전날(2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1층 건축물 하단부 기둥 대리석 일부가 떨어져 나갔다는 신고가 경찰과 소방에 접수됐다.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펑' 소리와 함께 아파트가 흔들렸다는 글과 함께 기둥 외벽 일부가 떨어져 나간 모습, 아파트 곳곳에 균열이 생긴 모습의 사진들이 올라왔다. 이에 기자는 22일 오전 해당 현장을 직접 찾았다.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진 파손지점에는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펜스나 가림막도 설치돼있지 않았고 현장을 관리하는 관계자도 없었다. 등교 시간 어린이들이 언제든 호기심에 파손 현장에 들어올 수 있는 위험한 상태였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파손이 발생한 아파트 위치를 묻는 기자 질문에 “알려줄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서울역 센트럴자이 내 파손 현장은 동굴처럼 깜깜해 플래시나 전등을 켜지 않으면 아무것도 볼 수 없었다. 휴대폰 카메라 플래시를 켜고 본 현장에는 파손된 천장과 비내력벽(자체 하중만 받고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는 벽)이 파란색 천막으로 가려져 있었고 천장에서 낙하한 타일과 파손된 비내력벽 조각들이 한곳에 정리돼 있었다. 현장을 지나가던 서울역 센트럴자이 아파트 입주민 A씨는 기자에게 “연일 나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