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설비 수출기업 육성을 위해 중소·중견기업의 첫번째 수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신규 프로그램이 가동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7년까지 공기업 수주에 의존하지 않는 원전설비 수출기업 100개사 육성을 목표로 원전 중소·중견기업의 첫 번째 수출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신규 프로그램을 공고한다고 11일 밝혔다.
최근 신규원전 건설과 계속운전 확대로 세계적인 원전설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주요국들은 과거 원전건설 중단 등 영향으로 설비제조 능력이 약화돼 우리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진입기회가 열리고 있다. 그러나 지난 5년간 원전수출 계약은 143건(5억3000만 달러) 수준으로, 공기업이 수주한 사업의 하도급 계약이 대부분이다. 중소기업 단독 수출은 전체의 9%에 불과했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하고자 정부는 지난 3월, ‘원전설비 수출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 원전 공기업과 협력업체 간 동반진출을 확대하고, 공기업 수주에 의존하지 않는 원전설비 수출기업을 육성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동반진출·독자수출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1일 공고한 신규 프로그램은 수출경험은 없으나 잠재력을 갖춘 유망기업을 선정해 수출 전 단계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기업들의 기술력, 수출 준비도,추진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올해 10개사를 잠정 지원대상으로 선정했다. 오는 2027년까지 60개사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여러 기관들이 각자 운영해온 30개 수출지원 사업을 종합 패키지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지원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원전수출산업협회, 한수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원자력협력재단, 무역보험공사 등 5개 기관들은 시장조사, 수출전략 수립, 품질인증 획득, 마케팅, 계약체결·납품까지 밀착 지원한다.
아울러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기업별 여건을 감안해 30개 사업 중 최적 지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기업당 최대 연간 4억 원, 5년간 20억 원을 지원하는 한편, 향후 참여 지원기관을 확대하고 지원범위도 넓혀나갈 예정이다.

산업부는 11일 세종청사에서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 참여기관 간담회’를 개최하고 각 기관별 역할과 지원계획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이승렬 원전산업정책국장은 “그간 여러 기관들이 다양한 지원제도를 개별적으로 운영해 원전설비 수출성과로 이어지는데 다소 한계가 있었다”며 “이번 지원 프로그램 신설을 계기로 정부와 유관기관들이 힘을 모아 2027년 원전설비 수출기업 100개사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하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