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제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중국경제, 열흘 가는 붉은 꽃은 없다

우리나라와 주변 4대강국의 경제전쟁(September-3)


1998년 민간에 개방, 들불처럼 타오른 부동산 시장 


돌이켜보면 지금의 위기는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경제가 안고 있는 모순일지 모른다. 지난 1978년 개혁개방을 시작한 중국은 4년 뒤, 1992년에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경제로 전환 했다. 쉽게 말해서 누구나 자기 사업을 해서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 준 것이다. 이전에는 국가가 지정하는 국유기업에 들어가 일해야 하고 그러면 국가가 알아서 집을 주고 봉급을 줬다. 마치 지금 북한에서처럼 말이다.   


그러자 개인들이 너나없이 사업에 뛰어들어 엄청난 민간 기업들이 생겨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예전에 국가가 공 급하던 제품은 민영기업들의 제품까지 합쳐져 과잉 공급되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대다수 중국 인민들은 그런 제품을 살 만한 돈이 없었다. 당연히 상품 소비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자 90년대 중후반부터 창고에 재고로 쌓이기 시작했다.

 

외환위기를 맞아 있던 우리나라처럼 중국은 은행이고 기업이고 뭐고 전부 파산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당시 중국의 총리는 주룽지였다. 그는 고민이었다. 팔려야 할 물건이 죄다 창고에 쌓여 있으니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 인가? 해법은 두 가지였다. 물건이 안 팔린다는 건 안 산다는 말이다. 그러면 과거에 사지 않았던-혹은 사지 못했던 사람들에게 사게 하면 되는 게 아닐까?


그래서 주 총리는 생각했다. “그래, 지금까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주로 물건을 샀으니 앞으로 농어촌사람들에게 사게 하면 될 거야.” 그렇게 믿은 주 총리는 농촌사람들이 도시에 모여 살 수 있도록 농촌의 도시화 계획을 주도했다. 도시화 비율은 점점 올라가면서 창고에 쌓여있던 제품이 팔리기 시작했다. 자급자족을 하던 농촌 사람들이 도시에 와서 살아가려니 경공업제품이 필요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도시화가 완성되려면 살 집이 필요했다. 그래서 아파트를 짓게 했다. 1998년, 도시화가 곳곳에서 일어나 인민에 게 살집을 나눠줄 수가 없게 되자 ‘각자 알아서 부동산을 사라’고 부동산 시장을 민간에게 개방했다. 이때부터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들불처럼 타오르기 시작했다. 


필자가 중국에서 공부했던 2천 년 대 초, 필자의 지도교수 역시 부동산 붐을 지나칠 수 없었다. 그는 아파트와 부동산을 입에 달고 살았다. 그 뿐이 아니라 너나없이 부동 산에 관심을 쏟았고 실제로 투자했다. 그것이 부자가 되는 가장 빠른 길이었으니까.    

 


시멘트 GDP’은 끝나는가? 



부동산 개발은 철강, 시멘트, 전자 등 거의 모든 산업분야를 함께 성장시킨다.

 

중국 경제를 ‘시멘트 GDP’라고 하는 것은 부동산 개발(건설)에 따라 GDP가 올라갔다는 말이 다. 너나없이 갑자기 부동산 시장에 뛰어들어 거품을 형성할 대로 형성했지만 부동산 관련 산업은 중국 GDP의 30%를 차지하면서 중국 경제를 사실상 이끌고 있다. 창고에 쌓여가던 재고는 내수보다 해외 수출에서 판로를 찾았다.

 

지난 호에 밝혔듯이 국영기업이 많은 중국은 WTO 가입 자격이 없었지만 미국 클린턴 행정부의 도움으로 2001년에 WTO에 가입함으로써 비로소 중국은 관세장벽을 해결하면서 수출주도형 국가가 되어 세계 시장으로 뻗어 나갈 수 있었다.    


다국적 기업들이 중국에 들어와 철강으로 건물을 짓고 공장에서 제품을 만들어 전 세계로 수출하면서 중국은 세계의 생산 공장이 되었고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고도성장의 시대를 구가했다. 미국의 달러가 중국으로 물밀 듯이 쏟아져 들어왔다. 하지만 화무십일홍, 열흘 이상 가는 붉은 꽃이 없다고 했던가. 이러한 중국의 기세는 2015년을 넘기지 못하고 있었다. 수출은 더 이상 늘어나지 않았으며 도시화도 더 이상 진척되지 않았다.

 

해외든 국내 든 소비자들이 필요한 제품을 사고 나면 더 이상 그 제품 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수요(需要)의 욕구는 항상 줄어 들 운명을 타고 났다. 인프라 투자 역시 영원히 계속될 수 없었다. 댐을 쌓고 도로를 내고 다리를 놓는 일도 언젠가 끝나게 마련이다. 우리나라에서 더 이상 댐을 쌓을 곳이 없듯이 중국도 더 이 상 인프라 투자를 할 곳이 마땅치 않았다.

 

지금까지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주도적으로 중국을 이끌어왔다면 앞으로가 문제다. 지금까지는 맞았던 경제의 틀이 더 이상 작동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위기가 곧 기회라고 한 것은 지금의 중국이 처한 상황의 다름이 아니다. (이어서 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40113 )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