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국내 공항 보안사고 최근 6년간 75건 발생

 

최근 6년 간 국내 공항 내 보안사고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권영세 의원(국민의힘)이 한국공항공사로부터 제출받은 ‘보안검색 실패 등 보안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올해 8월까지 김포공항 등 국내공항에서 발생한 항공 보안사고는 총 75건에 달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6건, 2019년 8건, 2020년 5건 수준이던 보안사고가 2021년 12건, 2022년 15건, 2023년 29건으로 급증했다. 항공보안강화 종합대책 수립(2023년 5월) 이후인 올해 6월~8월 사이에만 12건의 보안사고가 발생했다. 
 

공항별로는 김포공항이 23건(30.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주공항 12건(16%), 김해공항 10건(13.3%), 광주공항과 청주공항이 각각 6건(각 8%), 대구공항 5건(6.7%), 여수공항 3건(4%)이었다.

 

유형별로는 반입금지 물품의 보안검색 실패가 38건(50.7%)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금지물품 중 실탄이 8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자충격기가 7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 밖에도 신분증 및 항공권 확인 소홀이 19건(25.3%), 보안구역 등에 대한 통제 미흡이 8건(10.7%)이었다.

 

올해도 신분증과 탑승권 이름이 다른 승객, 만료된 여권 소지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는가 하면 탑승권 미소지자, 탑승권이 아닌 예약증 소지자가 신분확인을 통과하기도 했다.

 

지난해 군산공항에서 문형탐지기가 꺼진 상태로 29명이 보안검색 없이 통과해 사회적 문제가 되었음에도 문형검색기가 꺼진 채로 검색이 이루어진 사례가 올해도 3건 발생했다.

 

보안사고에 따른 항공청의 처분 결과를 살펴보면, 과태료 통지가 42건(5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정 조치가 27건(36%), 개선권고가 6건(8%)이었다. 문형검색기 관련 2건(군산, 제주)은 보고의무 위반으로 형사고발, 수사의뢰 되기도 했다.

 

한국공항공사는 잦은 보안사고의 원인으로 코로나로 인한 교육훈련 부족, 근무기강 해이, 공사의 관리감독 미흡 등을 들고 있었다.

 

 

권영세 의원은 “항공수요 회복과 동시에 보안사고가 급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라며 “체계적인 교육‧훈련으로 보안검색 요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근무기강을 확립해 구멍 뚫린 항공보안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