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메뉴

경제


10월 ICT 수출 170억달러, 흑자 44억달러…반도체 16개월만에 증가 전환

10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수출은 감소세를 지속했다. 다만 주력 수출 품목인 메모리 반도체는 단가 상승으로 16개월 만에 증가하며 반도체 수출 감소폭 축소를 견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4일 발표한 '10월 ICT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수출 170억6000만 달러, 수입 126억1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44억4000만 달러다.

 



 

전년 동월 대비 수출액은 4.5%로 감소했지만, 올해 처음으로 한 자리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지난 4월 35.9%를 기록했던 감소폭은 개선 흐름을 이어가며 전년과 소폭 감소한 수준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디스플레이가 전년 동기 대비 13.1% 증가했으나, 반도체(-4.7%), 휴대폰(-3.3%), 컴퓨터·주변기기(-26.2%), 통신장비(-23.4%) 등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4.7% 감소한 89억7000만 달러,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전년 대비 1% 증가해 45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메모리 고정 거래가격은 2021년 3분기 이후 9분기 만에 상승세로 돌아서며 반도체 수출 회복 여건을 조성했다.

 

디스플레이 부문 수출액은 13.1% 오른 22억9000만달러로 집계됐다.

 

모바일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출 확대가 전체 디스플레이 수출 증가를 견인하며 3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우리 기업의 휴대전화 생산 거점인 베트남으로의 디스플레이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23.5% 늘어난 15억 2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 확대를 이끌었다. 

 

휴대폰은 3.3% 감소한 15억달러에 그쳤다. 글로벌 기기 수요가 지속해 둔화하면서 완제품(2억6000만달러, -10.1%) 및 부분품(12억5000만달러, -1.8%)이 모두 내림세를 그렸다.

 

컴퓨터·주변기기도 7억6000만달러로 26.2% 축소했다. 전자기기 및 데이터센터·서버용 보조기억장치(SSD, 4억2000만달러, -42.9%) 중심으로 수출이 줄어들면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통신장비는 2억달러로 23.4% 감소했다. 일본 등 일부 지역의 수출은 증가했으나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인프라 투자 축소 영향으로 전체 수출은 감소했다.

 

특히 중국 대상 ICT 수출액은 75억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 줄었다. 지난해 9월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베트남은 0.3% 수출이 증가한 반면, 미국은 14.7%, 유럽연합 12.3%, 일본 2.8%의 감소세를 각각 나타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여성농민회총연합·전종덕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 촉구”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과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15일 ‘여성농민의 날’을 맞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성농민 법적 지위 보장 및 성평등한 농촌사회 실현을 촉구했다. 국회 농해수위 위원인 전종덕 진보당 의원은 이날 “농가인구의 51.1%, 농사일의 50.2% 등 여성농민이 농업농촌의 절반을 차지하는데도 법과 제도는 농가중심 구조에 머물러 정책결정 참여에 제한되거나 소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대표적으로 정부에 여성농업인 전담부서가 임의조직으로 되어있고 농어업경영체에 공동경영주로 등록하더라도 법적 지위로 인정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법과 제도로 여성 농민의 법적 지위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여성농업인 전담부서 설치, ‘농어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농어업인 육성법’ 개정에 나서 농정의 중심에 여성 농민을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정영이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회장은 “여성농민이 ‘한 사람의 농민’으로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며 “법적 지위를 확보하는 것은 농업정책과 마을, 법인, 지자체 모든 영역에서 여성농민의 목소리가 정책결정 과정에 반영될 수 있는 정치적 권리 문제인 만큼 전종덕 의원과 함께 법, 제도를 만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