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메뉴

건설


제주‧전남‧충남 주택 2채 이상 소유 가구 많아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주 연령대는 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주택소유통계 결과'에 따르면, 주택 소유가구 연령별 가구주는 50대가 310.4만 가구(25.4%)로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23.4%), 40대(20.5%) 순이었다.

 

가구원수별로는 2인가구가 408.2만 가구(33.4%)로 가장 많았고, 3인가구(24.3%), 4인가구(18.4%) 순이었다. 또 세대구성은 2세대 가구가 616.6만 가구로 50.4%를 차지한 가운데 2세대 가구 중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구가 전체의 35.5%로 집계됐다.

 

주택을 소유한 1,223.2만 가구 중 주택을 1건만 소유한 가구는 907.9만 가구(74.2%), 2건을 소유한 가구는 233.9만 가구(19.1%), 3건을 소유한 가구는 52.4만 가구(4.3%)로 나타났다.

 

 

2건 이상 주택 소유 가구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제주(32.6%), 전남(29.2%), 충남(29.1%) 순이었다. 2건 이상 소유 가구를 시군별로 보면, 시(市) 지역은 제주 서귀포시(33.3%), 제주 제주시(32.4%), 충남 당진시(31.6%) 순이었다. 군 지역은 경북 울릉군(39.8%), 인천 옹진군(39.5%) 순이었다.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한 가구당 주택자산 가액은 3억원 이하인 가구가 67.0%를 차지했다. 주택 자산가액이 3억원~6억원인 가구의 평균 소유 주택수는 1.47호, 6억~12억원 가구는 1.92호, 12억원 초과 가구는 3.26호를 소유했다.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3억 1천 5백만원, 평균 소유 주택수 1.34호, 평균 면적은 86.7㎡, 평균 가구주 연령은 56.8세, 평균 가구원수는 2.58명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주택 자산가액 기준 10분위별 주택소유 가구수 특성을 보면, 남성은 상위 분위일수록 많이 분포되어 있고, 여성은 하위 분위로 갈수록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가구주 연령대별로는 50대는 상위 분위에, 30세 미만은 하위 분위에 많이 분포했다. 서울과 경기는 상위 분위에 가구가 많이 분포했다.

 

주택 소유건수가 증가한 사람은 96.2만명으로, 이 중 1건 증가한 사람은 91.7만명(95.4%), 2건은 3.2만명(3.3%), 5건 이상 증가는 5천명(0.6%)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택 소유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65.2만명이었다.

 

주택 소유건수 증가자 96.2만명을 성별 기준으로 보면, 남성(50.5%)이 여성(49.5%)보다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30세 미만은 7.9만명(8.2%), 30대와 40대는 각각 20.4만명(21.2%), 22.9만명(23.8%)으로 집계됐다.

 

주택 소유건수 감소자 65.2만명을 성별 기준으로 보면, 남성(53.8%)이 여성(46.2%)보다 비중이 크게 나타났으며, 30세 미만은 1.4만명으로 2.2%에 그쳤으나, 40대와 50대는 14.4만명(22.1%), 16.2만명(24.8%)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2025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남도미식의 세계화 이끈다
‘K-푸드의 원류’ 남도미식 최근 ‘K-푸드’가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한류 열풍 을 이끌고 있다. ‘2023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음식’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분야로 꼽혔다. 단순히 한국 음식을 맛보는 것 이외에도 역사적·문화적·정서적인 측면까지 관심이 확대되면서, 한식은 그야말로 세계를 잇는 가교역할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한식의 대표, 한식의 뿌리는 어디인가. 답을 찾는 데 그렇게 오랜 시간이 필요할 것 같지 않다. 대한민국 국민에게 ‘맛의 고장’을 묻는다면 심중팔구 전라남도를 꼽을 것이기 때문이다. 어머니 손맛과 정성 가득한 맛의 본고장, 청정바 다와 황금들녘이 키워낸 산해진미의 천국, 그곳은 누가 뭐래도 단연 전라남도다. 지난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K-로 컬미식 33선’에 전국에서 가장 많은 6종(목포 홍어, 여수 갯장어, 담양 떡갈비, 무안 낙지, 완도 전복·김)의 남도미식이 선정됐다. 또한,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정한 대한민국식 품명인 81명 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5명이 활동하는 등 전라남도는 명실상부 K-미식의 대표주자로 인정받고 있다. 전국 최초 미식 테마 정부 승인 박람회 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