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메뉴

오피니언


디지털 전환의 시작은 데이터 관리

<박덕환 칼럼>

 

데이터와 정보가 조직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요 자산임은 컴퓨터가 업무에 도입되기 시작한 1960년대부터 강조되어 왔다.

 

앨빈 토플러는 1990년 저서 ‘권력이동 (Power Shift)’에서 오늘날 권력의 격변을 일으키는 것은 전적으로 새로운 부의 창출 체제에서 비롯된다고 하였다. 데이터, 아이디어, 지식의 즉시적인 전달과 보급에 의존하는 이 체제는 과거 산업혁명기의 낡은 공장굴뚝 체제를 대체하며 권력의 원천인 부, 지식, 폭력의 급진적인 변화를 야기한다고 밝혔다. 


인상 깊은 점은 통화(화폐)에 관하여 ‘갈수록 전자 펄스로 이루어지고 통화는 덧없이 사라지고, 순간적으로 송금되며 비디오 스크린에서 모니터 된다. 지구를 가로질러 깜빡거리고 번쩍이고 윙윙거리며 돌아다니는 이 ‘제3의 물결’의 통화는 그 자체가 바로 정보 즉 지식의 기초’라 하였다.

 

지금 생각해 보면 참으로 그 통찰력이 놀랍다. 서로우 교수 또한 1999년 저서 ‘지식의 지배(The Wealth Pyramid)’에서 국가의 경쟁력은 국가가 보유한 지식의 양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하였다. 현재 환경에서 지식의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 데이터임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데이터의 축적



축적된 데이터는 궁극적으로 기업에게 새로운 통찰력을 갖게 한다. 즉, 데이터가 축적되 지 않은 조직이 높은 수준의 지식을 보유할 수 없으며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도 없다. 기초적인 사실이나 현상, 실적, 사건 등이 잘 기록되어 관리되고 분석될 때 새로운 지식이 생성되고 축적되어 증가하게 된다.


‘축적의 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 자원 또는 경험이 축적되어 가치를 얻는 현상을 말한다. 이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관찰되며 비즈니스, 학습, 문화 등 여러 측면에서 중요하 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기업은 고객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고객 성향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축적은 기업이 더 나은 의사결정을 내리고 혁신을 추진하는 토대가 된다. 

 

비즈니스적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거나 창조성 및 혁신을 촉진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지식이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소이며 주요한 자산으로써 이를 최대화하기 위해 지식의 원천이 되는 데이터들을 잘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과연 필요하고 중요한 데이터들을 보유하고 있는지, 정말 필요한 데이터들이 관리되지 않고 누락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불필요한 데이터들을 열심히 관리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등에 대한 고민과 분석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중소기업의 정보화와 디지털 전환이 중요한 이유는 축적된 경험, 기술, 지식의 가시화(데이터화)와 공유가 계속기업으로의 성장과 국가적 이익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화는 정보기술(IT)을 활용하여 기업의 주요 데이터를 관리하는 효과적 방법이며 디지털화는 광범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된 데이터(지식)의 공유와 내외부적 협업, 타 업종과의 융합 등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실행하는 기회이다.

 

그 저변에 데이터가 있다. 요즘 데이터의 힘을 체감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가 쳇GPT 다. 스타트업 시드 엑셀러레이터인 와이콤비네이터의 샘 울트만이 마이크로소프트사의 투자를 받아 2015년 설립한 인공지능 기업 OpenAI가 2022년 11월 출시한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서비스가 바로 쳇GPT다. 일명 ‘생성형 Generative AI’로 사람의 지시 없이 스스로 학습한 알고리 즘을 바탕으로 새로운 결과물(이미지, 영상, 음성, 텍스트, 코드 등)을 직접 만들어낸다. (이어서)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라인게임즈, 창세기전에 신 캐릭터 ‘성왕 라시드 팬드래건’ 추가
라인게임즈는 16일 미어캣게임즈가 개발하고 자사가 서비스하는 모바일 SRPG ‘창세기전 모바일 : 아수라 프로젝트’(이하 창세기전 모바일)에서 신규 캐릭터 ‘성왕 라시드 팬드래건’을 추가하고 메인 스토리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성왕 라시드 팬드래건’은 지혜와 결단력을 겸비한 이상적인 전사형 군주다. ‘창세기전’ 초반부터 등장하는 ‘라시드 팬드래건’의 이격 캐릭터로, 전투 시 초필살기 ‘아론다이트 소환’을 사용한다. 함께 추가된 전용 무기 ‘바리사다 디바인’을 장착하면 무기 잠재력을 끌어낼 수 있다. 메인스토리 48장 ‘하나되는 결의’도 공개됐다. 이 스토리를 통해 거대한 운명의 소용돌이 속에서 인간과 신, 그리고 잊힌 존재들이 펼치는 최후의 전쟁 이야기를 경험할 수 있다. 또 메인 스토리 33장, 34장에 하드 난이도를 추가하고, 월드보스 레이드 콘텐츠 ‘에러코드 : 디에네’ 시즌 16을 시작했다. 라인게임즈는 오는 30일에 진행되는 정기 점검 전까지 다양한 혜택이 담긴 이벤트가 진행된다. 먼저 ‘몬스터 토벌 이벤트’를 진행해 ‘캐릭터 소환권 50장’과 ‘방어구 재련석’, ‘엘드(게임 재화)’ 등을 보상으로 제공한다. 같은 기간 신규 캐릭터 ‘성왕 라시드 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