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09 (월)

  • 맑음동두천 27.8℃
  • 구름많음강릉 26.4℃
  • 맑음서울 30.0℃
  • 구름많음대전 30.4℃
  • 맑음대구 28.1℃
  • 맑음울산 25.9℃
  • 구름조금광주 29.5℃
  • 맑음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8.1℃
  • 맑음제주 29.2℃
  • 맑음강화 24.3℃
  • 맑음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3℃
  • 맑음강진군 29.3℃
  • 맑음경주시 26.5℃
  • 맑음거제 27.2℃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돈 안 준다고 아이 낳지 않는 게 아닌데…

이대로 살고 싶다고? 그럼 다 망하자는 거다

 

우리나라 출산율은 0.7명이다. 0.7명이란 15살에서 49살까지 여성 한 명이 가임 기간인 35년 동안에 평균 0.7명을 낳았다는 의미다. 하지만 아이는 여성 혼자만 낳는 게 아니라 남녀가 커플이 되어야 하므로 실제로는 남녀 2명이 35년 동안 0.7명을 절반으로 나눈 0.35명을 낳았다고 봐야 한다.

 

그래서 0.7명의 출산율이라면 35년이 지나면 인구는 35%로 줄어들고, 또 한 세대가 지나면 0.2명이 되어 지금 200명이 70년 후에는 10분의 1인 20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물론 위의 계산은 단순히 50살 미만의 가임 여성 숫자만을 생각했을 때 그렇다는 것이고 50살이 넘은 인구까지 합하면 뭐 그런 정도까지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출산율이라면 70년 뒤 젊은 사람들은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노인만 넘치는 세상일 것이 될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우리나라가 이대로 가면 100년 뒤에 소멸할 것이라고 한 뉴욕타임스의 보도가 지나치다고만 할 수 없다. 그들의 계산에 의하면 지금의 5천만 명은 2070년이 되면 젊은 인구가 거의 없어지고 노인 인구까지 쳐서 3천만 명이 조금 넘는다는 것이니까….

 

그렇다면 인구감소, 특히 저출산 세계 1위가 된 우리나라가 50년 후에 3천5백만 명이 되는 게 어떤 문제가 되는가? 필자는 필자 세대가 아닌 젊은 세대에게 묻고 싶다. 필자처럼 은퇴한 세대가 볼 때 지금과 같은 인구감소는 정말이지 심각하기 짝이 없다. 하지만 필자 세대는 30년~40년 후에 이 세상에 없을 것 같으니 우리나라 인구가 적어서 무슨 일이 생기든 말든 크게 관여할 바가 못 되고, 무슨 의견을 낸다고 해서 귀담아 들어줄 것 같지도 않다.

 

대한민국이 북한보다 인구가 적어도 괜찮은가? 아니라면 어떻게 할 건데?

 

하지만 30년 후에 우리나라의 주인이 되어 나라를 꾸려갈 사람들, 이를테면 지금의 20대~30대는 다르다. 가임기에 들어 있는 그들 세대에게 이렇게 묻고 싶다.

 

“대한민국이 북한보다 인구가 적어도 괜찮은가?”

 

만약 이 질문에 “그게 뭐가 문제야?”라고 한다면 지금의 인구감소는 아무런 문제가 안 된다. 모두 그렇게 살면 되는 거니까. 필자 세대는 귀에 못이 박이도록 들었던 이야기가 있다. “우리나라는 방글라데시 다음으로 인구밀도가 너무 높다. 그래서 서울은 만원이다. 서울의 인구를 분산시켜야 한다”는 거였다.

 

그런 시각에서 본다면 “서울 인구가 줄면 널찍하게 살아서 좋은 거 아닌가?”라는 말이 나올 수 있다. 현재 가임 연령층의 세대가 그렇게 생각한다면 그렇게 가면 되는 것이다. 그게 답이니까 아무 문제가 안 되고 오히려 좋은 일일 수도 있다. 그런데 만약에 “그건 아닌 것 같은데? 최소한 5천만 명이 되도록 유지해야 되지 않겠어?”라고 한다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살아가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 지금과 같은 저출산의 행동방식으로 살아간다면 결국 3천만 명 대의 나라로 쪼그라들 수밖에 없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인구를 늘리는 데는 아이를 낳는 방법이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이민을 받아들이는 것도 방법이나 부족한 인구를 이민으로 채운다는 선택에 대해 우리나라 사람들은 달가워하지 않는다.

 

이민이 많아도 싫다, 아이 낳는 것도 싫다면 우리나라 인구는 갈수록 쪼그라들 수밖에 없다. 그래서 만약 북한보다 인구가 적은 나라가 되는 건 싫다고 한다면, 지금부터 뭔가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방법은 재차 말하지만, 아이를 낳는 것뿐이다. 다른 방법은 없다. 있다면 벌써 시행했을 것이다.(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41782

 



배너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전지정제 없이 '플랫폼 공룡' 독점 막을 수 있나
정부가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의 반칙행위를 막고 지배적 플랫폼의 영향력에 상응하는 강화된 입증 책임을 부여하기로 했지만, 시민단체들은 '사전지정제' 빠진 채 별도의 플랫폼법도 마련되지 않았다고 말하며 정부의 미봉책을 비판했다. 9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여당과 당정협의회를 열고 플랫폼 공정경쟁 촉진 및 티메프 재발 방지 입법 방향을 최종 확정했다. 티메프 사태에서 불거진 미정산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을 통해 온라인 중개 거래 플랫폼에 대해 일정 기한 내 정산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판매 대금의 일정 비율을 별도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정산기한은 구매 확정일로부터 10일 또는 20일로 하는 안과 월 판매 마감일로부터 30일 이내로 하는 두 가지 안이 마련됐다. 플랫폼이 판매대금 직접 수령시 별도 관리 비율은 100%(1안), 50%(2안)이 각각 제시됐다. 앞서 당국은 지배적 플랫폼을 사전지정하는 '플랫폼 공정경쟁촉진법(플랫폼법)' 제정을 추진하다 혁신을 저해하는 사전규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에 공정거래법을 개정하는 것으로 방향을 선회한 바 있다. 또한, 대형 플랫폼이 상대적 약자 사업자에 불공정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일정 규모 이상의 온라인 중개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