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경인뉴스


경기산학융합지구 기업지원 성과보고회, 산학연관 네트워크 장 마련

-주요사업 성과 공유 및 과제 사례발표와 결과평가 진행
-15일 성과보고회 성황리에 개최

(사)경기산학융합원(원장 김응태)은 15일 한국공학대학교 시흥비즈니스센터 컨벤션홀에서‘2023년도 경기산학융합지구 기업지원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경기산학융합원에서 2023년 한해 동안 추진한 주요사업의 참여기업, 대학 및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석해 사업성과를 공유하고, 과제 사례발표와 과제 결과평가를 진행했다.


경기산학융합원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경기도 디지털혁신과, 시흥시 기업지원과의 지원을 받아 기업 현장 애로기술 해결 및 현장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경기산학융합촉지원사업(2021년~2023년)’, 반도체 소부장 기업 기술개발 지원을 위한 '경기산학융합형 반도체 생태계 조성사업(2023년~현재)’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 일환으로 ‘프로젝트 랩’ , ‘산학융합 R&D’ 과제를 통해 시작품 제작 및 기술지도, 학생 현장교육 등을 지원했으며, 경기도 내 기업 14개사, 대학생 135명이 참여해 기업은 애로기술을 해결하고, 학생은 실무경험을 통해 현장 맞춤형 인재를 양성했다.
 

과제에 참여한 기업의 과제 관련 매출액은 2023년 13억9천만원이 발생했고 2024년에는 62억8천만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신규 고용 인원은 작년 16명 채용, 올해에는 45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경기산학융합형 반도체 생태계 조성사업은 반도체 소부장 기업 2개사(주관기업+참여기업)가 공통된 주제로 대학과 협력하여 소부장 관련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R&D, 인력양성, 고용, 사업화’ 가 융합된 산학협력 R&D 과제로 ‘23년 총 2개 과제에 4개 기업(주관기업 2개사+참여기업 2개사)이 참여했으며, 대학생 19명이 학생연구원으로서 기술개발을 진행했다.
 

과제를 통해 참여기업 매출액은 23년 4억1천만원에서 24년 18억5천만원, 총 직원수는 23년 6명에서 24년 13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도내 중소기업 11개사를 대상으로 정부 및 지자체 사업 수주를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 컨설팅(R&D 기획·컨설팅)을 지원하였고, 상시 컨페서(컨설턴트) 제도를 운영해 기업 애로 상담 및 R&D 과제 발굴 등 56개 기업을 대상으로 59건의 컨설팅을 지원했다.
 

경기산학융합원 김응태 원장은 “국내외 경제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을 위해 조금이나마 힘을 보탤 수 있어 뜻깊은 한 해였다"며 "올해도 산업부, 경기도, 시흥시의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더 많은 중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산학융합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경기도내 중소기업 현장 애로기술 해결을 위해 R&D, 시작품제작, 컨설팅 등을 계속 지원할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