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4.9℃
  • 맑음강릉 15.9℃
  • 구름조금서울 13.8℃
  • 맑음대전 15.1℃
  • 맑음대구 16.0℃
  • 맑음울산 15.3℃
  • 맑음광주 14.2℃
  • 맑음부산 16.0℃
  • 맑음고창 11.9℃
  • 맑음제주 15.8℃
  • 구름조금강화 12.0℃
  • 구름조금보은 13.9℃
  • 맑음금산 13.7℃
  • 맑음강진군 14.8℃
  • 맑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산업


사모펀드 대주주 bhc, '반값' 브라질산 닭고기로 가격 올려

-사모펀드가 대주주인 bhc. 브라질산 수입 치킨으로 폭리

-닭고기 수입 할당관세 0%를 노린 사모펀드의 비윤리적 경영?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가 대주주로 있는 bhc치킨이 일부 메뉴에 국내산의 절반 가격에도 못 미치는 브라질산으로 바꾸면서도 소비자 가격까지 올린 것으로 드러났다.

 

19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bhc치킨은 지난해 5월 순살 치킨 메뉴 7개의 닭고기를 국내산에서 브라질산으로 교체했다. 당시 순살 메뉴의 국내산 닭고기 수급이 어려워져 브라질산으로 바꿨다는 bhc의 설명이지만 지금까지도 브라질산 닭고기를 쓰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면서도 bhc는 지난해 12월 원부자재 가격, 인건비, 임대료 상승 등을 이유로 85개 메뉴 가격을 500∼3000원 인상하면서 국내산 닭고기가 아닌 브라질산 닭고기를 쓴 메뉴 7개의 가격도 함께 올렸다. 이에 반해 경쟁사들은 브라질산 닭고기를 일부 메뉴에 쓰지만 작년 하반기 가격 인상에 참여하지 않았다.

 

bhc치킨 관계자는 연합뉴스에 "앞서 맺은 계약 기간이 끝나면 다시 국내산으로 바꿀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원부자재 비용 상승이 메뉴 가격 인상의 원인 중 하나라면 적어도 브라질산 닭고기로 바꾼 메뉴의 가격은 동결했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브라질산 수입 냉동육 가격은 국내산 닭고기의 3분의 1수준, 혹은 반값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bhc 메뉴 중 '뿌링클 순살' 가격은 2만3000원으로 비슷한 중량의 GS25의 '뉴쏜살치킨' 가격, 1만1900원의 두 배에 가깝다. 해당 메뉴는 편의점에서 직접 조리해주는데도 가격은 bhc 메뉴의 반값인 것이다.

 

정부는 현재 물가 안정을 위해 수입 닭고기에 할당관세를 0%로 적용하고 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국내산 닭고기에 비해 브라질산 냉동육은 매우 싸기 때문에 원재료 부담이 낮아지는 것은 상식"이라며 "가격 인상의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bhc의 2018∼2022년 5년간 연평균 영업이익률은 30.1%로 교촌이나 BBQ 등 다른 브랜드보다 압도적으로 높다. bhc의 2018년 대비 2022년의 매출원가 상승률은 5.7%에 그쳤으나 순이익률은 31.8%로 대폭 높아졌다. 가격 인상과 가맹점주 상대 폭리 논란이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bhc 대주주는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로 지난 2018년부터 투자하기 시작해 현재 45% 지분을 보유해 실질적인 경영을 하고 있다. bhc 지주회사 이사회는 지난해 11월 전 박현종 대표이사를 전격 해임하고 그 자리에 차영수 MBK파트너스 운영 파트너를 앉혀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재난에 '땅 꺼짐' 명시...임오경 '재난법 개정안' 대표발의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국회의원(광명갑)이 현행법상 사회재난의 정의에 지반침하(땅꺼짐)를 추가하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일부개정안'을 15일 대표발의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국에서 총 867건의 땅꺼짐 사고가 발생했다. 최근에도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 붕괴 사고'가 발생하는 등 땅꺼짐 사고의 발생 빈도와 피해 규모는 모두 증가 추세에 있어 국민적 불안이 가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현행법상 재난의 정의에 땅꺼짐이 포함되지 않아 이러한 사고에 대한 안전관리체제가 확립되지 않고, 이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조치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이번 개정안에서는 사회적 재난의 정의에 땅꺼짐을 지칭하는 ‘지반 침하’를 포함하도록 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국토를 보존하고, 국민의 생명·신체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고자 했다. 임오경 의원은 "땅꺼짐 사고는 단순한 사고가 아닌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회적 재난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법적 사회 재난의 정의에 반드시 포함되어 피해 지원과 보상 및 책임 규명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