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생성형 인공지능(AI)칩, 세계적 수요 폭발적, 임계점은 어디인가?

-생성형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4분기 영업이익 136억 달러

-고대역폭 메모리칩 공급사 SK하이닉스 주가 강세, 삼성도 맹추격

 

 

전 세계 생성형 인공지능(AI)시장을 80&이상 독점해온 미국의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지난해 4분기 매출 221억 달러, 영업이익 136억 달러의 놀라운 실적을 발표하자, 삼성. 구글, 메타, 오픈 AI를 비롯한 글로벌 선도 기업들의 이합집산이 가속화 하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매출과 주당순이익 모두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었고,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65%, 총이익은 769% 급증했다. 아울러 올해 1분기 매출도 월가 전망치를 8% 이상 웃돌 것으로 예상되는 수치를 내놓으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는 “가속 컴퓨팅과 생성형 AI가 임계점(tipping point·티핑 포인트)에 도달했다”며 “전 세계적으로 기업, 산업, 국가 전반에 걸쳐 AI 칩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엔비디아에 공급하는 최신 고대역폭 메모리칩(HBM)의 주요 공급사인 SK하이닉스의 경우 그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엔비디아에 공급하는 HBM은 여러 개의 D램을 수직으로 연결해 기존 D램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를 혁신적으로 끌어올린 차세대 D램 제품이다.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 학습에 필요한 AI에 필수로 꼽힌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엔비디아에 4세대 HBM인 ‘HBM3’를 공급하고 있다.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1위인 삼성전자는 HBM 시설 투자를 늘리며 맹추격을 예고한 상태로 삼성전자는 올해 초 열린 ‘CES2024’에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투자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삼성전자의 관계자는 “HBM과 같은 가속기용 메모리 수요가 뜨면서 파운드리(위탁생산)와 결합되는 새로운 비즈니스가 나오고 있다”며 “메모리와 파운드리를 동시에 갖고 있는 유일한 회사인 삼성전자는 시너지 효과를 내고 2~3년 뒤에는 (삼성전자가) 강자가 되지 않을까라고 자신한다”고 말했다.

 

최근 프랑스의 IT 시장조사기관 욜 그룹이 발표한 HBM 시장전망에 따르면 올해 HBM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150% 성장한 141억 달러(19조원)로 예상된다. 지난해 전 세계 HBM 시장점유율의 경우 SK하이닉스 50%, 삼성전자 40%, 마이크론 10% 등으로 대만 시장조사업 트렌스포스는 분석했다.

 

한편 엔비디아의 실적이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자 인텔 파운드리는 마이크로 소프트의 AI데이터 센터용 칩을 생산하기로 하면서 협업에 나섰다. 인텔은 이날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새너제이에서개최한 인텔파운드리 서비스 다이렉트 커넥트에서 MS가 자사 18A공정에서 반도체를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