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9 (토)

  • 맑음동두천 -0.9℃
  • 맑음강릉 2.0℃
  • 맑음서울 1.7℃
  • 맑음대전 2.9℃
  • 구름많음대구 6.0℃
  • 구름많음울산 6.2℃
  • 구름조금광주 4.0℃
  • 구름많음부산 7.4℃
  • 맑음고창 0.2℃
  • 구름조금제주 7.2℃
  • 맑음강화 -2.4℃
  • 구름조금보은 -0.4℃
  • 구름조금금산 1.7℃
  • 맑음강진군 3.9℃
  • 구름많음경주시 5.6℃
  • 구름많음거제 6.8℃
기상청 제공

경제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 가방에서 악취가 난다고? 돈을 환불 받으세요

악취 나는 가방으로 홍역을 치른 프랑스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이 최근 갑질 논란 끝에 제품 교환 정책을 변경한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관련 유통업계에 따르면 루이비통은 당초 구입 금액 보다 (제품 가격 인상분만큼 돈을 더 내고) 같은 제품을 교환했던 고객들에게 현재 판매가를 기준으로 환불을 진행하고 있다.

 

루이비통 가방을 구입했던 고객들은 “똥냄새가 난다”면서 가방을 교환하려면 구입당시보다 더 오른 만큼의 돈을 내야 동일 제품으로 교환이 가능했었다. 이를 테면, 판매가가 110만원이 올랐으면 그 만큼 돈을 더 내야 했다.

 

이 때문에 루이비통은 명품 브랜드의 갑질이라는 논란에 휩싸였었다. 그러다가 최근 루이비통이 교환 정책을 바꿔 ‘현재 판매가’를 기준으로 해서 돈을 더 냈다면 환불을 하고 있는 것이다.

 

 

루이비통 가방에서 악취가 난다는 주장이 3~5년 전부터 일어나자 회사는 해당 가방을 교환해주겠다고 밝힌 바 있었다. 교환 대상은 2017년 1월부터 2021년 3월 사이에 생산된 제품 일부로, ‘마리냥’과 ‘포쉐트 메티스’, ‘알마BB’ 등의 가방 제품을 비롯해 ‘로잘리 코인 퍼스’ 등의 지갑, 카드 홀더 등 캔버스 소재가 적용된 제품이다.

 

이들 제품은 그동안 몇 차례 가격이 인상돼 당시 구매한 가격과 현재의 가격이 달라진 상황이다. 판매 가격이 많게는 100만 원 이상 차이가 났다.

 

이를테면, 포쉐트 메티스의 경우 2017년 판매가는 214만원이었지만 악취 문제가 불거진 지난해 6월 판매가는 329만원으로 115만원 차이가 났다.

 

이에 루이비통은 115만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교환이 가능하다는 정책을 세워 ‘명품 브랜드 갑질’이 아니냐는 여론의 뭇매를 맞았다.

 

만약 포쉐트 메티스를 2017년 구매해 악취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지난해 6월 같은 제품으로 교환을 받으려면 인상분인 115만원을 내야했던 셈이다.

 

루이비통은 악취 문제로 인해 제품을 교환할 경우 차액을 지불하면 다른 제품으로도 교환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때도 구입 당시 금액을 기준으로 차액을 산정했다.

 

비판 여론이 확산되면서 루이비통은 교환 정책을 기존 ‘구매가’ 기준에서 현재 ‘판매가’ 기준으로 변경했다.

 

루이비통 매장 관계자는 “악취 문제와 관련해서는 정해진 기간 없이 심사 후 교환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문제 발생 초기 구매가 기준으로 교환을 진행해 동일 제품이더라도 차액을 요구했으나, 판매가 기준으로 방침을 변경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경북 산불 실화자 31일 소환…"실거주지 달라 빠른수사 필요"
경북 의성군 특별사법경찰은 ‘경북 산불’을 낸 혐의(산림보호법상 실화 등)로 A(50대)씨를 오는 31일 입건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28일 밝혔다. A씨는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께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한 야산에서 성묘하던 중 산불을 낸 혐의를 받는다. 타지역 출신인 그는 산불이 나자 직접 산림 당국에 신고했다. 그가 낸 산불은 태풍급 강풍을 타고 안동·청송·영양·영덕까지 번져 사망 24명, 부상 25명 등 50명의 사상자를 내고 149시간 만에 꺼졌다. 추산된 산불영향구역만 4만5157㏊로 사상 최악이다. 특별사법경찰의 수사를 지휘하는 검찰은 A씨가 인명·문화재 피해를 일으킨 만큼 그에 대해 ‘산림보호법’뿐 아니라 형법과 문화재보호법 적용을 검토해야 한다며 특사경이 경찰과 협조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그러면서 기존 대형 산불의 선례 등을 감안할 때 압수수색, 포렌식, 출국 금지 신청 등을 절차대로 추진하면 구속 수사가 불가피하다고도 판단했다. 피의자는 주소지와 실거주지가 다르며, 실거주지가 불명확해 수사당국의 빠른 수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검찰은 덧붙였다. 의성군 산림과 관계자는 "의성군 특사경이 산림 사범과 관련해 특사경 업무를 추진하고는 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