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9 (수)

  • 맑음동두천 4.3℃
  • 맑음강릉 4.6℃
  • 맑음서울 3.8℃
  • 맑음대전 5.5℃
  • 맑음대구 5.6℃
  • 맑음울산 5.8℃
  • 구름조금광주 4.9℃
  • 맑음부산 7.2℃
  • 구름많음고창 5.0℃
  • 구름많음제주 6.4℃
  • 맑음강화 3.4℃
  • 맑음보은 1.9℃
  • 구름조금금산 3.8℃
  • 맑음강진군 6.2℃
  • 구름조금경주시 6.1℃
  • 맑음거제 5.6℃
기상청 제공

영상뉴스


‘5호선 연장’ 인천-김포 기싸움... 상생노선은 어디에

 

서울5호선 연장을 위한 인천시·김포시 간 시민의 삶을 반영한 실질적 합의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국회에서 열렸다.

 

더불어민주당 모경종 의원은 지난 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서울5호선 연장 지자체 간 협의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철도건설은 균형발전과 향후 인구 수요를 고려한 장기적 프로젝트로 종합적인 개발계획과 주민 수요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모 의원은 "수차례 조정회의를 거쳤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건의하였던 기존 노선도 포기하며 김포시와의 상생 노선인 5호선 연장 인천시(안)을 제안했으나, 지난 1월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가 발표한 조정안에서는 기존 인천시(안)의 원당역이 제외되고 불로역이 김포 감정역으로 변경됐다. 인천시가 제시한 4개 역사에서 중 2개만 반영된 것"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이어 "대광위는 지자체 간 합의를 원칙으로 한다고 하였으나 사전에 지자체 간 조율이 되지 않은 조정안을 발표해 지자체 간 갈등, 민·민갈등만 부추기는 상황을 만들었다"며 "대광위의 조정안은 우리 인천 서구와 검단 주민들 일부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30년, 김포시를 포함한 경기도와 서울시의 쓰레기를 수도권매립지에서 처리하며 주민들이 감내해온 피해 보상 차원에서도, 폭증하고 있는 검단의 인구 증가를 고려했을 때에도 5호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 2021년,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광역교통위원회(대방위)는 서울5호선 김포·검단 연장 사업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제4차 광역교통 시행계획’추가 검토사업으로 반영하고, 향후 5호선 연장 노선에 대해 지자체 간 합의를 거쳐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2022년 서울시와 김포시, 강서구가 인천시를 배제한 채 ‘서울 5호선 김포 연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인천시는 5호선 노선에 대한 지자체 간 이견 사항을 조율하기 위해 수차례 조정회의를 거쳤고,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건의했던 기존 노선도 포기하며 김포시와의 상생 노선인 5호선 연장 인천시(안)을 제안했다.

 

그러나, 올해 1월 대방위가 발표한 조정안에서는 기존 인천시(안)의 원당역이 제외되고, 불로역이 김포 감정역으로 변경되며 인천시가 제시한 4개 역사에서 중 2개만 반영했다.

 

한편, 대방위는 오는 12일, ‘서울5호선 김포검단 연장’사업을 제4차 대도시권 광역교통시행계획의 본 사업으로 반영하기 위한 공청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강남3구·용산, 캡투자 봉쇄"... 서울시 '토허제 재지정' 갈팡지팡
서울시가 강남 3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재지정했다. 서울시는 한 발 더 나아가 용산구 아파트 전체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다. 서울시가 지난달 12일 잠실·삼성·대치·청담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하겠다고 발표한 지 35일 만이다. 서울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 3구에서 시작된 집값 급등이 다른 지역으로 번져나가자 해제 구역을 재지정하는 데서 나아가 더 넓은 구역을 새로 묶어버리는 초강수를 뒀다. 토지거래허가제는 투기가 우려되는 지역에서 일정 규모 이상 집이나 땅을 거래할 때 관할 기초자치단체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규제다. 주택은 2년간 실거주 목적 매매만 허용해 갭투자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서울 아파트 40만 가구에 대해 전세보증금을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원천 금지된다. 부동산시장 불안을 빠르게 가라앉히려는 조치지만,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했다가 한 달여 만에 대폭 확대하는 '온탕 냉탕' 대처로 정책 신뢰도를 무너뜨리고, 시장 변동성을 키운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와 서울시는 19일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용산구 아파트 2천200개 단지, 40만가구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 지정한다고 밝혔다. 지정 기간은 3월 24일부터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