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국힘 전대, 지지자 폭력 사태에 이어 ‘폭로전’까지

한 후보 ‘댓글팀 운영’ 의혹, 나 후보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부탁’ 논란 쟁점

 

[M이코노미뉴스=최동환 기자]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닷새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후보들간 막판 과열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지자들의 폭력 사태에 이어 폭로전까지 불거지고 있다.

 

어제(18일) 열린 CBS 주관 당권주자 4차 방송토론회에서 한동훈 후보가 나경원 후보를 겨냥해 “저에게 본인의 패스트트랙 사건 공소를 취하해달라고 부탁했다”고 폭로해 논란의 발단이 됐다.

 

나 후보는 원내대표였던 2019년 4월 민주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법과 공직선거법을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해 처리하려는 것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충돌을 빚었다가 국회법 위반 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이에 나 후보는 토론회 뒤 자신의 페이스북에 “역시 한동훈 후보의 ‘입’이 우리 당 최대 리스크다. 한 후보가 입을 열면, 우리 당을 위험에 빠뜨리는 폭탄과 같은 말들이 쏟아져 나온다”고 적었다.

 

이어 “패스트트랙 공소문제는 대한민국 법치주의와 사법정의를 바로 세우는 차원에서, 그리고 정치의 사법화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차원에서 했던 충언이었다”며 “그런데 한 후보는 이마저도, 자기 정치 욕심을 위해 교묘하게 비틀고 있다”고 반박했다.

 

반면 원희룡 후보는 “한 후보의 입 리스크 우리 당의 새로운 위험으로 등장했다. 누가 물어보지도 않았는데 자기가 옳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라며 “누가 무서워서 한동훈 후보하고 말 섞으려고 하겠는가”라고 했다.

 

윤상현 후보는 “선을 넘는 발언은 조심해야겠다. 이런 걸 느꼈다. 우리 스스로 자중자애하자”며 “까딱 잘못하다 야당 공격의 빌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당권주자들이 오늘(18일) 당대표 선출을 위한 다섯번째 방송토론회에서 격돌한다.

 

후보들은 이날 오후 KBS가 주관하는 토론회에 참석한다. 이번 토론회에선 한 후보의 법무부 장관 시절 ‘댓글팀 운영’ 의혹과 나 후보의 ‘패스트트랙 공소 취소 부탁’ 논란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어 후보들은 19일 SBS가 주관하는 마지막 6차 방송토론회에 나선다. 이후 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거쳐, 23일 전당대회에서 새 대표가 선출된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