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18 (금)

  • 흐림동두천 15.9℃
  • 흐림강릉 20.2℃
  • 서울 18.4℃
  • 대전 19.8℃
  • 흐림대구 23.3℃
  • 흐림울산 22.5℃
  • 광주 24.8℃
  • 흐림부산 24.2℃
  • 구름많음고창 25.3℃
  • 구름많음제주 27.6℃
  • 흐림강화 15.8℃
  • 흐림보은 20.3℃
  • 흐림금산 22.0℃
  • 흐림강진군 23.5℃
  • 흐림경주시 23.3℃
  • 흐림거제 23.0℃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반려견 품종확인 키트, 국내 최초 개발 나서

호네연 한슬, 게놈 분석 기법 적용해 질병 예측 키트 함께 개발키로

 

반려견 시장이 나날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 동물유전자 벤처회사가 반려견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

 

호네연 한슬은 농촌진흥청 유전공학연구소 연구원과 작물시험장을 지낸 박민서 대표가 2008년 설립한 회사다. 분자생물학을 전공한 빅민서 대표는 국내 반려견 중 가장 많이 사육되는 비숑, 포메라니안, 말티즈, 푸들, 말티푸 등 5종에 대한 품종 확인 키트를 국내 최초로 개발한다.

 

반려인들은 자신이 기르는 반려견이 어느 정도 순종인지 외모만으로는 확실히 판단하기 어렵다. 호네연 한슬은 인간게놈 분석과 똑같은 방식으로 반려견 5종에 대한 정밀표준 유전체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표준 유전체 지도가 완성되면, 표준 유전체를 키트에 넣어 품종확인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마치 코로나 바이러스 진단키트처럼 이 키트를 반려견의 타액을 채취해 표준 품종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품종 확인 키트는 선진국에서는 이미 있으나 상당한 고가로 알려져 있는데, 호네연 한슬은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계획이며 해외 수출도 겨냥하고 있다.

 

호네연 한슬은 품종확인 키트와는 별도로 반려견 5종의 질병을 예측하는 키트도 개발한다. 기존 제품과 다른 점은 애견인이 키트로 타액을 채취하는 즉시 결과를 알 수 있다고 말한다. 타사 제품들은 타액을 채취한 키트를 진단 회사로 보내서 약 한 달 후 결과를 통보받는 식이다. 박민서 대표는 진단 키트에 최신 기법으로 질병 유전체를 장착시키면 현장에서 바로 알 수 있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현재 국내 반려견들은 분명한 가계도를 알 수 없어 근친종이거나 잡종견인 경우가 많고, 특히 근친종의 경우 수명이 짧고, 질병 발병률과 당대 도태율도 높다고 박 대표는 말한다.

 

이처럼 확실한 품종을 알 길이 없다 보니, 판매자가 부르는 게 값인 상황에서 불투명하고 혼란스런 유통 시장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샵 타입 반려견은 50-150만원, 펫 타입은 300만원 이내, 도그쇼 타입은 500만원선에 거래되는데, 반려인들은 그 기준을 알 수 없는 형편에서 판매자들이 정한 가격에 구입할 수밖에 없다. 박민서 대표는 반려견의 공정한 거래를 위해서는 품종 확인이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려동물 연관산업은 양육 가구의 증가와 동물 지위 상승에 힘입어 시장이 확대되고 고급화 경향을 띠고 있다. 반려동물 연관산업은 고용 효과도 높아 정부는 반려동물 연관산업을 육성하고 수출산업화 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각종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반려동물 연관산업은 사료와 진료, 장묘, 용품, 보험 등을 아우르며 보통, 펫푸드, 펫헬스케어, 펫서비스, 펫테크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정부가 발표한 반려동물 자료에 따르면 반려동물 양육 가구 수는 2012년 364만 가구에서 2022년 602만 가구로 증가했으며, 반려동물 개체수는 2012년 556만 마리에서 2022년 799만 마리로 늘어났다.

 

세계 시장 규모는 2022년 3,720억 달러에서 2032년 7,762억 달러로 예상되고 있으며 국내 시장 규모는 2022년 62억 달러에서 2032년 152억 달러로 전망되고 있다. 국내 시장의 연평균 증가율은 세계 시장보다 높은 9.5%로 분석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농신보, 아직도 '습관적 연대보증 요구' ...채무 감경·면제 조항도 없어
농림수산업자의 신용력을 보완하기 위해 보증을 해주는 농림수산업자신용보증기금(이하 농신보)이 여전히 대출 법인에게 습관적으로 연대보증을 요구하고 있어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더불어민주당 임미애 의원(농해수위/비례대표)이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농신보의 최근 5년간 법인 보증에 대해 연대보증인 입보를 요청한 현황을 보면, 갱신보증 시 연대보증인 입보 요청은 2019년 7,700건, 1조3,033억원에서 2024년 9월말 기준 3,719건, 7,092억원으로 절반가량 감소했다. 신규보증에 대한 연대보증인 입보 요청은 없었다. 그러나 농신보는 갱신보증 시 보증 대상 법인의 책임성이나 신용도 등을 평가해 연대보증인 입보를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당초 연대보증이 있던 보증인 경우 갱신 시 무조건 연대보증인 입보를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갱신보증 시 연대보증인 입보 요청 감소분은 대출 상환에 의한 것이지 보증 대상 법인 평가를 통한 연대보증 취소가 아닌 것이다. 연대보증 제도는 강력한 채권회수 수단으로서 과거 광범위하게 활용되었지만, 차주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까지 재기 기반이 무너지는 등 경제적 타격을 입는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점차 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