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높아지면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만4천여명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는 29일 KDI 현안분석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이같은 내용의 KDI 현안 분석을 발표했다.
김 총괄은 지난 2011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면세점,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 제외) 대비 무점포소매판매액 비중, 취업자 수 증감 등의 지표를 활용해 온라인 소비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추정했다. 코로나19 확산 당시 특수 상황과 내수 경기의 영향은 통제했다.
분석 결과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는 2만 3천명, 도소매업 취업자는 1만 9천명 각각 줄어들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운수·창고업은 8천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고, 이외 다른 업종에서의 고용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은 자영업자 비중이 커 노동시장을 아예 떠나는 비율이 높을 수 있고, 폐업 후 재창업이 임금근로자의 퇴직 후 재취직보다 오래 걸리는 점 등으로 파급효과가 도소매업보다 컸다.
반면 운수·창고업에서는 택배·물류 부문의 일자리 창출로 고용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김 총괄은 2017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의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 등을 바탕으로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했다. 다만 서비스 소비에 관한 자료의 한계로 상품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했다.
분석 결과, 온라인 소비 비중이 1%p 상승하면 당해 연도의 상품 물가 상승률은 0.07%p가량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기간 온라인 소비 비중이 14%에서 27%로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소비가 온라인의 형태로 전환된 점이 같은 기간 상품 물가지수를 2.4% 낮추었음을 시사한다.
소비자물가 품목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소비자물가 지수는 같은 기간 1.1% 낮아진 것으로 추산됐다. 온라인 판매 시 유통 단계가 축소되고 매장 유지 비용과 인건비가 절감돼 물가 상승세가 안정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추정됐다.
김 총괄은 “온라인 소비 확대가 전체 고용에 상당 기간 하방 압력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시사한다”며 “재교육 강화 등을 통해 업종의 원활한 전환을 돕고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확대를 지원하고, 관련 산업의 독과점화로 저해되지 않도록 시장 여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