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소비재 수출이 중국 시장에서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자동차와 스마트폰에 이어 화장품 수출도 줄어드는 상황이다.
27일 한국무역협회 무역 통계 시스템 'K-stat'에 따르면 작년 한국의 대중국 소비재 수출액은 61억5000만달러로 전년보다 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중 소비재 수출은 2021년 88억100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이후 2022년 72억9000만 달러, 2023년 66억달러, 2024년 61억5000만달러로 이어지며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중국 소비재 수출 감소는 전체 소비재 수출이 지난해 3.1%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전체 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4.6%에 불과했으며, 이는 전 세계 대상 수출에서 소비재가 차지하는 비중인 14.8%와 비교할 때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수치는 한국 소비재 상품이 중국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비재 수출 부진 속에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중간재에 더욱 의존하는 구조로 굳어지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대중국 수출액 중 85.9%는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무선통신 부품 등 중간재가 차지했다.
특히, 한국의 전체 소비재 중 수출 규모가 가장 큰 자동차는 중국 시장에서 지속적인 부진을 겪고 있다. 현대차의 경우, 2023년 중국 판매량은 24만9000대로, 2016년의 정점에 비해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2013년까지 중국 시장 점유율 20%대로 1위이던 삼성전자 스마트폰도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에 밀려나 중국 시장에서 존재감이 약해진 상황이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또한 2013년까지 중국 시장 점유율 20%대로 1위였으나, 현재는 화웨이와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에 밀려 존재감이 약해진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대중 수출 효자 소비재였던 화장품 수출도 중국 소비자들의 국산 선호 증가 흐름 속에서 예전만 못한 실적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대중 화장품 수출액은 2021년 49억 달러를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지난해에는 25억달러까지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