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9 (토)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산업


“차라리 한국행 비행기표 사겠다”…美 관세에 당황한 K-뷰티 팬들

CNN "트럼프 관세로 韓 화장품, 美서 '성분 변경·가격 인상' 직면" 보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무역 재협상과 고율 관세 정책이 한국산 화장품 산업에도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미국 내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자외선 차단제와 한국식 10단계 스킨케어 루틴에 의존하는 미국 소비자들은 ‘대체재가 없다’며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CNN은 9일(현지시간) 보도를 통해 “한국산 화장품이 미국에서 더는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없는 시대가 올 수 있다”며 “한국산 자외선 차단제와 페이스 세럼 등 주요 품목들이 관세와 규제 강화로 인해 가격 인상과 품절 사태를 겪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뉴욕 맨해튼 코리아타운의 한 K-뷰티 매장 직원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인기 자외선 차단제 중 일부는 미국 생산으로 제형이 변경됐고, 다른 제품은 몇 주째 품절 상태”라고 말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상태나, 향후 관세 전면 시행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화장품을 무관세로 수출해왔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정책은 이를 뒤엎을 수 있는 위협이 되고 있다. CNN에 따르면, 미국은 2024년 기준 약 17억 달러 규모의 한국 화장품을 수입했으며, 이는 프랑스를 앞서는 수준이다.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2024년 미국 내 매출이 처음으로 중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관세가 현실화될 경우, K-뷰티 브랜드들은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고, 제형 변경 또한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기준을 맞추기 위해 기존 한국 제품에서 사용되던 특정 성분이 제외될 수 있기 때문이다.

 

크레이브뷰티의 리아 유 대표는 CNN에 “지난 7년간 제품 가격을 28달러 이하로 유지했지만, 앞으로는 불가피하게 인상될 수밖에 없다”며 “탐욕 때문이 아니라 현실적인 선택”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K-뷰티 산업이 자동차, 반도체 등과 비교할 때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은 아니지만, 문화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한 수출 다변화 전략의 핵심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미국 브루킹스연구소 앤드류 여(Andrew Yeo) 선임연구원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젊은층의 높은 브랜드 충성도는 큰 기회인 동시에 가격 민감성으로 인한 위험 요소”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일부 소비자들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차라리 한국행 항공권을 사겠다”, “스킨케어 캐비닛을 다시 정리하며 재고 파악 중”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등 불안한 심리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

 

UC샌디에이고 이문섭 조교수는 CNN에 “미국 소비자들은 가격이 오르더라도 관세를 감수하며 한국 제품을 찾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대체재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분단·이산가족 80년 “생사 확인 위한 서신교환” 촉구
북한에 있는 가족의 생사 확인을 위한 서신교환 실현 성명서 발표 기자회견이 18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렸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이 함께했다. Peace Makers Korea 대표 김사랑 양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분단 80년 이산가족 80년, 이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면서 “가족의 얼굴을 보겠다고까지는 하지 않겠다. 가족의 목소리를 듣겠다고까지는 하지 않겠다. 그러나, 가족의 생사를 알기 위해 서신교환만이라도 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이것은 가장 기본적인 인권이며 인간의 신성불가침한 권리로 중범죄로 종신형을 선고받은 수감자도 전쟁터의 사람들도 가족과는 소통을 한다”면서 “이산가족 누구나 편지로라도 소식을 전하며 생사확인이라도 할 수 있도록 모두가 서신교환 실현 서명에 함께 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사랑하는 가족에게 단 한 통의 편지를 전할 수 있도록, 함께 도와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환갑이 넘어 탈북했다는 기자회견 참석자는 발언에서 “북한에 남기고 온 자식들과 배우자 그리고 손자, 손녀 13명의 가족들과 이산가족으로 생활하고 있다”면서 “아무 때나 국제여행을 할 수가 있으며 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