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산업


美 관세 예고에 K-바이오 타격 불가피 '비상대응'

셀트리온·SK바이오 등 현지 위탁생산 대안 마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만간 의약품에 대한 세부 품목별 관세 정책을 발표하겠다고 예고하면서, 국내 제약 및 바이오 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활성화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다음 주에 의약품 가격과 관련한 중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밝히고, "우리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바이오협회 자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의약품은 약 39억7천만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바이오의약품이 약 37억4천만 달러로 전체의 94.2%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의약품 수출이 12.6%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관세를 높일 경우, 관련 업계의 피해는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갈취", "큰 발표" 등의 강경한 표현을 사용한 만큼, 상당한 수준의 관세율이 부과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앞서 그는 지난 2월 의약품 관세에 대해 "25% 이상도 가능하다"고 언급한 바 있으나, 4월 초 발표된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는 의약품이 제외됐었다.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관세 부과를 예고한 만큼, 실제 적용은 시간문제라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다양한 대응을 준비해왔다.

 

한 대형 바이오업체 관계자는 "당장 움직이기보다는 상황을 좀 더 지켜보고 있다"며, "빠르게 대응하긴 어렵고 몇 달 정도의 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요 기업들이 자체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 중이어서 예상보다 피해가 적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셀트리온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 내 완제의약품 생산을 확대할 수 있다는 계획을 세웠으며, 올해 초 "관세 대응 선조치를 완료했다"고 공지했다. 상반기 중 투자 계획의 일환으로 현지 생산시설 확대와 원료의약품 수출 집중 등을 고려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미국 내 FDA 인증 생산시설을 기반으로 이미 현지 생산 체계를 준비해 왔으며, 약 6개월치 분량의 재고도 보유 중이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