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메뉴

경제


국내최초 개인투자조합 온라인플랫폼 '원크라우드'

 

"우리 회사는 사무실 내에 항상 음악이 흐른다."

진부한 금융시장에 새로운 투자 플랫폼을 제시하며 출발한 원크라우드 사무실에서는 회사 내에 음악이 끊이질 않는다. 일반적인 회사에서는 이뤄지지 않을 만한 일이 이곳에서는 이뤄지고 있다.
 일명 "원크라우드 쥬크박스" 라고 지칭하며 직원들이 듣고 싶은 음악을 자유롭게 틀어놓고 일을 하고 있다.

직원들은 "어느 새인가부터 회사에 음악이 흐르고 분위기가 밝아져 일의 능률이 오르고 있다." 라고 말했다. 보통 회사에서 이뤄지지 않을 이러한 환경을 만든 원크라우드 정수웅 리더에게 물어보았다.
 
정수웅 리더는 "회사를 무엇보다 직원들이 즐겁고 회사에 오래 남아 있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하고 싶은 게 이유이며, 대표와 직원들 사이에 소통하기 쉬운 음악이라는 장르를 통해 대표와 직원들은
 거리낌 없는 사이가 되었다." 라고 말했다.

새로운 형식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원크라우드' 는 자본력이나 정보력의 부재로 참여할 수 없었던 개인 투자자들이 힘을 모아 기관과 동등한 입장으로 PE시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데 앞장서고 있다.

원크라우드는 One과 Crowd의 합성어로, '대중(Crowd)이 모여 하나의 목적(One)을 이룬다' 는 뜻에서 만들어진 브랜드 네임이다.

사무실 내 임직원의 평균연령은 30대 중반으로 젊은 패기와 열정을 지니고 있는데, 그와 대조적으로 그 나이대에 걸맞지 않은 깊은 업계경험도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대한민국에 개인투자조합의 결성을 코칭해줄 수 있는 플랫폼이 아직 부재하였는데, 젊은 맨파워를 바탕으로 한 원크라우드가 대한민국에서 첫 번째로 그 역사를 써내기 위해 출사표를
 던진 것이다.

벤처·중소기업 활성화, 고용창출 및 창조경제를 골자로 하여 정부에서 많은 지원책을 펼치고 있으나, 아직 '개인투자조합' 이라는 개념은 일반적인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생소한 개념이다.
 
원크라우드의 개인투자조합은 49인 이하의 사모방식으로, 중소기업청의 등록허가를 받아야만 결성할 수 있으며, 운용내역을 정기적으로 보고함으로써 투명성과 객관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전문 인력들이 기업발굴 및 심사, 투자집행에서 회수까지의 모든 과정에 관여한다. 
 
눈에 띄는 특징으로는 '사회 환원' 과 '거래의 투명성' 인데, 첫째로 '사회 환원' 은 부의 재분배,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실현하고자 하는 취지에서이다. 
 
개인투자조합을 결성하여 수익을 실현하면 그 일부를 사회적 약자를 위해 기부할 계획이라고 한다.
 
둘째로 '거래의 투명성' 이다. 지금까지 비상장주식은 시장논리에 의해 왜곡되거나 개인들에게 과도한 수수료가 책정되어 왔다. 하지만, 원크라우드 개인투자조합은 이러한 가격 거품을 제거하고 거래 내역을 투자자들에게 공개함으로써 비상장주식의 투명한 거래에 앞장서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쿠팡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 시행 홍보했지만 ‘주7일 야간배송’ 강요
쿠팡이 ‘격주 주5일제 야간배송’을 시행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지만, 현장에서는 여전히 주6일, 주7일 강제노동이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쿠팡 대리점들이 회사 아이디를 이용해 심야노동시간 및 노동자 휴일이 없는 사실을 은폐하고 주7일 야간 배송까지 종용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쿠팡 대리점 올리브로지스틱스에서 일하던 A씨는 지난 7월 27일부터 엿새간 야간배송을 마친 뒤(7월 27일부터 7월 31일까지는 본인 아이디, 8월 1일은 회사 아이디로 근무), 하루 쉬는 날이던 8월 2일, 회사로부터 다시 근무 지시를 받았다. 배송 업무 어플 접속 아이디를 다르게 해 시스템상 주5일 근무 후 하루 휴식한 것처럼 만들어 마치 택배기사가 하루를 더 쉬려고 한 것처럼 보이게 한 것이다. A씨가 이를 거부하자 회사는 '대체 인력 투입 비용'이라며 용차비 70만 원을 청구했다. 만약 A씨가 그날 지시에 따랐다면, 해당 주간에 7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것은 물론, 그 다음 주 휴무일(토요일)까지 총 13일 연속 야간배송을 하게 되는 셈이었다. 특히, 5일은 노동자 본인 아이디로 배송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하루는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