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


KT, 올 3분기 매출 5조9,485억·영업이익 3,695억원 기록

KT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5조9,485억원, 영업이익 3,695억원을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3분기와 비교했을 때 매출은 2.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무선 요금할인과 콘텐츠 서비스구입비 등이 늘면서 2.1% 감소했다. 순이익은 유무형자산손실 감소 영향으로 18.2% 증가했다.

 

KT는 통신시장 환경의 변화로 무선 서비스 매출이 감소했지만, 데이터 요금제 혁신에 따른 무선 가입자 순증세가 이어지고, 기가인터넷·IPTV 우량 가입자도 늘어 실적을 떠받쳤다고 설명했다.

 

무선 사업에서는 선택약정할인 가입자 증가와 취약계층 요금감면 영향으로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2.5%, 직전분기대비 0.6% 감소한 1조6,574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일반이동통신(MNO) 가입자는 직전분기대비 20만4,000명 순증했다.

 

고객의 데이터 이용 패턴에 맞춰 혜택을 늘린 ‘데이터ON’ 요금제, 해외에서도 국내통화료가 적용되는 ‘로밍ON’ 요금제와 같은 혁신적 서비스가 시장의 호평을 받으며 가입자 증가의 밑거름이 됐다.

 

KT는 고객혜택을 강화한 서비스로 가입자 기반이 확대됨에 따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흐름이 창찰될 것으로 예상했다.

 

유선 사업에서는 기가인터넷의 꾸준한 성장세가 이어졌다. 다만, 유선전화의 매출 하락 영향으로 유선사업 전체 매출은 전분기대비 0.3% 증가, 전년동기대비 1.5% 감소한 1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2014년 출시된 기가인터넷 가입자는 3분기(9월 말) 기준 KT 전체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의 54%에 해당하는 470만명을 넘었다. 이에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3분기 누적 기준으로 4.7% 증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미디어·콘텐츠 사업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9.2% 증가한 6,253억원을 달성했다. 특히, IPTV 서비스는 우량 가입자 비중 확대와 플랫폼 수익 증가로 두 자릿수 성장세를 지속했다.

 

별도 기준 IPTV 매출은 3,59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3% 늘었고, IPTV 가입자는 777만명을 넘어서며 같은 기간 5.1% 증가했다.

 

금융사업 매출은 BC카드의 국내매입이 늘고, 중국 은련카드 매입액이 일부 회복세를 보이면서 1년 전보다 1.0% 증가한 8,823억원을 기록했다.

 

기타 서비스 매출은 부동산과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사업 호조에 전년동기대비 15.2% 증가한 6,520억원이었다.

 

KT는 유선에서 국내 최소 10기가인터넷 서비스를 출시하는 한편, 무선에서는 5G를 준비하며 인프라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9월에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반 융합서비스 개발을 위한 ‘5G 오픈랩(Open Lab)’을 열어 중소·벤처기업들이 5G 관련 서비스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 2020년까지 약 1,000여 파트너로 협력을 확대해 5G 서비스 발굴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윤경근 CFO는 “통신시장 환경 변화로 무선 매출 감소가 있었지만, 핵심사업에서 고객기반을 확대하며 안정적인 실적을 올릴 수 있었다”며 “5G, 10기가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인프라 혁신과 AI, 차세대 미디어 등 ICT 융합서비스 개발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