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산업


북경자동차, 한국 전기차 시장 진출 … 저상버스 국토부 등록 完

북경모터스(주) “중형 승용차 EU5, 소형 SUV X3 등 차례로 선보일 것”

 

북경자동차그룹(BAIC : Beijing Automotive Group Co.,Ltd)의 한국지사인 북경모터스㈜ (대표자 재임스 고)가 국내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를 마쳤다.

 

북경모터스는 최근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의 제작자등 등록을 마치고 국내 전기차 시장 진출에 가속도를 높였다. 이번 국토부에 등록을 마친 모델은 저상버스이며 이후 중형 승용차 EU5와 소형SUV X3와 같은 고성능 전기 승용차를 차례로 선보일 예정이다.

 

우선 국내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여지는 저상전기버스인 그린타운(Green Town)은 북경자동차그룹의 연구진들이 교통약자들을 위해 한국형으로 특별히 제작한 8.5m 저상형 마을버스다.

 

북경모터스는 현재 국내에서 운행중인 9m급 마을버스는 교통 약자들을 위한 편의 시설이 갖추어 지지 않아 노약자나 장애인들이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북경모터스 그린타운이 출시됨에 따라 교통약자들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북경모터스는 이번 그린타운에 이어 올해 전기 승용차 EU5 출시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독자적인 전기차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북경자동차와 글로벌 기업 벤츠의 기술 협력으로 탄생된 EU5는 2018년 11월 출시 한 달 만에 3,000여대를 판매하는 등 놀라운 실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북경자동차그룹(BAIC : Beijing Automotive Group Co.,Ltd)은 2010년 설립된 중국 제1의 종합 자동차 제조사이자 서비스 업체다. 중국정부에서 운영하는 국영기업으로 대형버스, 트럭 등 상용차에서부터 SUV, 경차 등 승용차까지 모든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앞서 북경자동차그룹은 현대자동차와 합작해 중국에 베이징 현대를 만든 회사로 국내에 알려진 바 있다. 또 베이징 현대를 비롯해 승용차 제조사 BAIC MOTOR와 SUV제조사 RAW, 버스 회사 Foton, 독일 벤츠의 합작사 베이징 벤츠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북경자동차그룹의 한국지사인 ㈜북경모터스 코리아(대표자 제임스 고)는 2016년 10월 한국에 판매총판 BMK[북경모터스]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북경차의 계열사 브랜드 중 가장 먼저 FOTON AUV 전기시내버스가 강릉시에 판매돼 평창올림픽기간에 시범운행된 바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