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기업들이 퇴사 직원들의 비매너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246개사를 대상으로 ‘비매너 퇴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9곳(86.6%)이 비매너 퇴사자가 있었다고 답했다. 2018년과 2019년 같은 조사 결과보다 각각 14.3%p, 1.4%p 상승한 수치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최악의 비매너 퇴사 유형은 ▲퇴사일이 얼마 안 남긴 갑작스러운 퇴사 통보가 34.1%였다. 이어 ▲인수인계 제대로 안 함(18.9%) ▲근태관리, 업무 태도가 불성실해짐(10.6%) ▲동료 직원들에게 퇴사, 이직 권유함(9.6%) ▲회사 기밀, 내부 자료 등을 유출함(7%) 등이었다.
비매너 퇴사자가 많은 직급은 ‘사원급’(70.4%)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대리급’(18.7%), ‘과장급’(6.7%), ‘부장급 이상’(2.6%), ‘차장급’(1.6%)이 뒤를 이었다.
비매너 퇴사자로 인한 손실은 ‘팀 업무 진행에 차질’(72.2%, 복수응답),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58.1%), ‘연쇄 퇴사 초래’(18.4%), ‘기업 이미지 실추’(15.7%), ‘내부 기밀 유출’(10.8%) 등을 꼽았다.
이들 기업은 퇴사 시 시간 여유를 두고 이직 사실을 알림(24.1%), △업무 인수인계를 철저히 (21.1%), △팀원 및 조직 상황 배려해 퇴사 시기 조율(19.3%), △퇴사 직전까지 성실한 근무태도 유지(11.6%), △진행 중이던 업무는 확실히 마무리(10.3%), △동료들의 사기를 꺾는 발언은 하지 않음(6.9%) 등을 퇴사자들이 지켜야 할 매너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체 기업의 27%는 비매너 퇴사 직원에 대해 평판 조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평판 조회 시 퇴사 비매너에 대해서는 ‘간단히 언급한다’(49.2%)나 ‘솔직하게 모두 말한다’(44.4%), ‘말하지 않는다’(6.4%)라고 답했다.
반대로 채용 시 평판조회를 진행하는 기업(1,567개사) 중 37.6%는 지원자의 퇴사 비매너 행동을 들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의 절반 이상(51.3%)은 해당 지원자를 ‘바로 탈락’ 시켰으며, 41.3%는 ‘감점시켰다’ ‘영향이 없었다’(7.5%)고 답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비매너 퇴사는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것은 물론, 자신의 평판 관리와 추후 이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퇴사 의사를 밝히고, 인수인계를 충실히 하는 것 등 기본적인 것만 지켜도 좋게 마무리를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