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최악의 비매너 퇴사 유형 1위는 ‘갑작스러운 퇴사 통보’

많은 기업들이 퇴사 직원들의 비매너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2,246개사를 대상으로 ‘비매너 퇴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9곳(86.6%)이 비매너 퇴사자가 있었다고 답했다. 2018년과 2019년 같은 조사 결과보다 각각 14.3%p, 1.4%p 상승한 수치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최악의 비매너 퇴사 유형은 ▲퇴사일이 얼마 안 남긴 갑작스러운 퇴사 통보가 34.1%였다. 이어 ▲인수인계 제대로 안 함(18.9%) ▲근태관리, 업무 태도가 불성실해짐(10.6%) ▲동료 직원들에게 퇴사, 이직 권유함(9.6%) ▲회사 기밀, 내부 자료 등을 유출함(7%) 등이었다.

 

비매너 퇴사자가 많은 직급은 ‘사원급’(70.4%)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대리급’(18.7%), ‘과장급’(6.7%), ‘부장급 이상’(2.6%), ‘차장급’(1.6%)이 뒤를 이었다.

 

비매너 퇴사자로 인한 손실은 ‘팀 업무 진행에 차질’(72.2%, 복수응답), ‘구성원들의 사기 저하’(58.1%), ‘연쇄 퇴사 초래’(18.4%), ‘기업 이미지 실추’(15.7%), ‘내부 기밀 유출’(10.8%) 등을 꼽았다.

 

이들 기업은 퇴사 시 시간 여유를 두고 이직 사실을 알림(24.1%), △업무 인수인계를 철저히 (21.1%), △팀원 및 조직 상황 배려해 퇴사 시기 조율(19.3%), △퇴사 직전까지 성실한 근무태도 유지(11.6%), △진행 중이던 업무는 확실히 마무리(10.3%), △동료들의 사기를 꺾는 발언은 하지 않음(6.9%) 등을 퇴사자들이 지켜야 할 매너라고 답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전체 기업의 27%는 비매너 퇴사 직원에 대해 평판 조회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평판 조회 시 퇴사 비매너에 대해서는 ‘간단히 언급한다’(49.2%)나 ‘솔직하게 모두 말한다’(44.4%), ‘말하지 않는다’(6.4%)라고 답했다.

 

반대로 채용 시 평판조회를 진행하는 기업(1,567개사) 중 37.6%는 지원자의 퇴사 비매너 행동을 들었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의 절반 이상(51.3%)은 해당 지원자를 ‘바로 탈락’ 시켰으며, 41.3%는 ‘감점시켰다’ ‘영향이 없었다’(7.5%)고 답했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비매너 퇴사는 회사에 손해를 끼치는 것은 물론, 자신의 평판 관리와 추후 이직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시간적인 여유를 두고 퇴사 의사를 밝히고, 인수인계를 충실히 하는 것 등 기본적인 것만 지켜도 좋게 마무리를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