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설


"9월 전국 빌딩 거래금액, 전년比 60% 이상 빠져”

부동산 한파와 함께 상업용 부동산 매매 시장에서도 거래금액, 거래량 등 주요 지표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분석한 마켓 리포트를 통해 2022년 9월 기준 상업용 부동산 동향을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상업용 부동산의 꽃 ‘빌딩’, 아파트 다음으로 감소 폭 커

 

9월 기준 상업·업무용 빌딩과 상가·사무실을 합한 상업용 부동산의 매매거래금액은 2조7천억 원으로 전년 동월 7조1천억 원 대비 61.9%, 전월 5조6천억 원 대비 51.8% 감소하면서 -78.8%까지 감소된 아파트 거래금액(3조 7천억 원) 다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상업·업무용 빌딩은 전년 동기 대비 -66.5%, 상가·사무실은 -50.1%까지 매매거래금액이 줄었다.

 

거래량도 가파른 하락세 기록

 

9월 기준 상업용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전체 부동산의 약 6.4%인 4024건으로, 전년 동월(6965건) 대비 42.2%, 전달인 8월(5407건) 대비해서는 25.6% 줄어든 수치를 보였다. 이 중에서도 특히 상업·업무용 빌딩이 전년 대비 50.1%까지 매매거래량이 축소되면서 69.4%까지 감소된 아파트 거래량과 19.3%p가량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가·사무실은 전년 동기 대비 -39%까지 매매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 전년比 90% 이상↓...서울, 인천, 울산도 60% 이상 넘게 빠져

 

상업·업무용 빌딩 동향을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전국 17개 시도의 매매거래금액과 거래량이 전년 동월 대비 전체적으로 하락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세종시는 9월 단 한 건의 거래만 이루어짐에 따라 비이상적 폭락율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금액은 세종시 -97%, 대전시 -85.4%, 부산시 -75.1%, 제주도 -73%, 경상남도 -72.7%를, 거래량 감소는 세종시 -90%, 서울시 -68.2%, 인천시 -64.6%, 울산시 -60%, 경기도 -59% 순을 보였다.

 

 

하락 방어해 온 부산, 제주도 불과 한 달 만에 80% 이상 폭락

 

위드 코로나와 함께 레저 수요가 살아나면서 부동산 하락기에도 방어를 일부 해 온 부산, 제주도의 상업·업무용 빌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한 모습이다. 거래금액 규모가 한 달 만에 급격히 빠지면서 전월 대비 제주는 -80.6%, 부산은 -80.4%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전월 대비 낙폭이 60% 이상 기록한 곳으로는 경기도(-64.4%), 세종시(-63.5%), 서울시(-61.5%)가 있다.

 

상대적으로 증감률이 낮은 지역은 충청남도

 

상업·업무용 빌딩 시장에서 충남(-13%), 전북(-18.2%) 지역은 전년 동월 대비 매매거래량 증감률이 20% 미만으로 다른 지역 대비 변동폭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충남의 경우 거래금액 증감율 또한 -3.7%에 불과해 눈길을 끈다. 두 지역은 아파트의 경우 각각 매매거래량 기준으로 같은 기간 -64.7%, -63%씩 하락한 만큼, 빌딩의 가격 방어가 눈에 띈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잇따른 빅스텝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 전반이 침체되면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상업용 부동산 동향을 신속히 읽어냄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를 드릴 수 있도록 웹과 앱을 통해 부동산 마켓 리포트 제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