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메뉴

건설


"9월 전국 빌딩 거래금액, 전년比 60% 이상 빠져”

부동산 한파와 함께 상업용 부동산 매매 시장에서도 거래금액, 거래량 등 주요 지표가 모두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데이터 및 AI 기반 상업용 부동산 전문기업 부동산플래닛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기반으로 분석한 마켓 리포트를 통해 2022년 9월 기준 상업용 부동산 동향을 발표했다고 8일 밝혔다.

 

 

상업용 부동산의 꽃 ‘빌딩’, 아파트 다음으로 감소 폭 커

 

9월 기준 상업·업무용 빌딩과 상가·사무실을 합한 상업용 부동산의 매매거래금액은 2조7천억 원으로 전년 동월 7조1천억 원 대비 61.9%, 전월 5조6천억 원 대비 51.8% 감소하면서 -78.8%까지 감소된 아파트 거래금액(3조 7천억 원) 다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상업·업무용 빌딩은 전년 동기 대비 -66.5%, 상가·사무실은 -50.1%까지 매매거래금액이 줄었다.

 

거래량도 가파른 하락세 기록

 

9월 기준 상업용 부동산 매매거래량은 전체 부동산의 약 6.4%인 4024건으로, 전년 동월(6965건) 대비 42.2%, 전달인 8월(5407건) 대비해서는 25.6% 줄어든 수치를 보였다. 이 중에서도 특히 상업·업무용 빌딩이 전년 대비 50.1%까지 매매거래량이 축소되면서 69.4%까지 감소된 아파트 거래량과 19.3%p가량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가·사무실은 전년 동기 대비 -39%까지 매매거래량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 전년比 90% 이상↓...서울, 인천, 울산도 60% 이상 넘게 빠져

 

상업·업무용 빌딩 동향을 지역적으로 살펴보면, 전국 17개 시도의 매매거래금액과 거래량이 전년 동월 대비 전체적으로 하락한 것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세종시는 9월 단 한 건의 거래만 이루어짐에 따라 비이상적 폭락율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금액은 세종시 -97%, 대전시 -85.4%, 부산시 -75.1%, 제주도 -73%, 경상남도 -72.7%를, 거래량 감소는 세종시 -90%, 서울시 -68.2%, 인천시 -64.6%, 울산시 -60%, 경기도 -59% 순을 보였다.

 

 

하락 방어해 온 부산, 제주도 불과 한 달 만에 80% 이상 폭락

 

위드 코로나와 함께 레저 수요가 살아나면서 부동산 하락기에도 방어를 일부 해 온 부산, 제주도의 상업·업무용 빌딩도 하락세를 면치 못한 모습이다. 거래금액 규모가 한 달 만에 급격히 빠지면서 전월 대비 제주는 -80.6%, 부산은 -80.4%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전월 대비 낙폭이 60% 이상 기록한 곳으로는 경기도(-64.4%), 세종시(-63.5%), 서울시(-61.5%)가 있다.

 

상대적으로 증감률이 낮은 지역은 충청남도

 

상업·업무용 빌딩 시장에서 충남(-13%), 전북(-18.2%) 지역은 전년 동월 대비 매매거래량 증감률이 20% 미만으로 다른 지역 대비 변동폭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충남의 경우 거래금액 증감율 또한 -3.7%에 불과해 눈길을 끈다. 두 지역은 아파트의 경우 각각 매매거래량 기준으로 같은 기간 -64.7%, -63%씩 하락한 만큼, 빌딩의 가격 방어가 눈에 띈다.

 

부동산플래닛 정수민 대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장기화와 잇따른 빅스텝 영향으로 부동산 시장 전반이 침체되면서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상업용 부동산 동향을 신속히 읽어냄으로써 투자자들에게 유용한 가이드를 드릴 수 있도록 웹과 앱을 통해 부동산 마켓 리포트 제공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어르신 대상 스마트폰 교육 시행해 ‘보이스피싱’ 예방 나선다
최근 고령층을 대상으로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7000억 여원에 달했으며, 이중 절반 이상이 60세 이상 노인층에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스마트폰을 이용해 은행 직원이나 가족을 사칭한 뒤 송금을 유도하는 수법이 늘어나면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서울 성북구 장위순복음교회와 노인복지센터 청춘행복학교가 손잡고, 어르신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시니어 스마트폰 활용 단기 특강’을 개최한다. 교육은 오는 10월 16일부터 11월 6일까지 매주 목요일, 총 6회 과정으로 진행되며, 실습 중심의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마련됐다. ◇보이스피싱 예방에 초점 맞춘 교육 이번 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한 스마트폰 기능 익히기를 넘어 ‘보이스피싱과 금융사기 예방’에 방점을 둔 것이다. 참가자들은 △비밀번호 관리 및 지문·얼굴 인식 보안 설정 △스팸전화 차단 기능 활용 △의심스러운 문자·앱 판별법 △안전한 모바일 결제 습관 등을 실습을 통해 직접 익히게 된다. 또한 전화로 돈을 요구하는 경우는 무조건 의심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부터, 실제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