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설


올림픽파크 포레온 등 연말 대장주 분양...내년 시장 '바로미터' 될듯

올해 막바지 지역을 대표하는 대장주 분양이 잇따르면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내년 분양시장 분위기를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로 여겨지고 있는 만큼 분양 결과에도 시선이 쏠릴 전망이다.

 

 

업계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강북에 공급되는 ‘장위자이 레디언트’, 강동에 공급되는 ‘올림픽파크 포레온’이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모두 지역을 대표하는 대어급 단지로 당첨자 발표일이 달라 중복청약도 가능하다.

 

먼저 GS건설이 공급하는 ‘장위자이 레디언트’는 총 2840가구 규모로 강남에 위치한 ‘반포자이’에 이은 강북 자이 단일 브랜드 기준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분양일정은 12월 7일 해당지역 1순위, 8일 기타지역 1순위 청약을 받는다. 16일 당첨자 발표에 이어 27일부터 29일까지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총 1만2032가구 규모의 올림픽파크 포레온은 역대 최대 규모의 재건축 단지로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롯데건설이 시공을 맡았다. 분양일정은 6일 해당지역 1순위, 7일 기타지역 1순위 청약을 받는다. 당첨자 발표는 15일이고, 정당계약은 2023년 1월 3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된다.

 

같은 강동구에서 총 1299가구 규모의 ‘강동 헤리티지 자이’도 12월 분양을 알렸다. 현대백화점, 이마트, 강동경희대병원, CGV, 홈플러스 등 생활인프라를 가까이 누릴 수 있다. 

 

 

지방의 경우 대전에 분양한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의 ‘둔산 더샵 엘리프’는 총 2763가구 규모로 올해 대전에서 분양한 단지 중 최대 규모다. 일반분양 물량도 1935가구로 많다. 대전 대표 생활권인 둔산 생활권을 누리는 단지인 데다 ‘더샵 엘리프’ 브랜드가 적용돼 앞서 청약에서는 6511명의 청약자가 몰리기도 했다. 남은 분양일정으로는 12월 7일부터 13일까지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강원도에서는 ‘원주 롯데캐슬 시그니처’ 분양 결과에 관심이 쏠린다. 총 922가구 규모로 원주 혁신도시 인근에 위치한다. 앞서 원주 혁신도시에서 지역 최초로 해당지역 1순위에서 마감된 ‘원주 롯데캐슬 더 퍼스트’에 이어 단기간 완판(완전판매)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분양일정은 12월 6일 1순위 청약을 받고, 13일 당첨자 발표가 진행된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 분양하는 지역 대장주들이 내년 초 분양시장 바로미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며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된 만큼 얼마나 단기간에 완판에 성공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