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5년 만에 6.4배 늘어'...작년 환치기 적발 금액 5조 2400억

 

국민의힘 송언석 의원(경북 김천)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아 23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해 동안 적발된 불법외환거래 중 환치기 적발금액이 무려 5조239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치기란 통화가 다른 두 나라에 각각 계좌를 만든 뒤, 한 국가의 계좌에 돈을 넣고 다른 국가에 만들어 놓은 계좌에서 그 나라의 화폐로 지급받는 불법 외환거래 수법을 뜻한다.

 

송 의원이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환치기 적발 금액 규모는 2017년 8,246억원에서 2022년 5조2,399억원으로 약 6.4배 규모로 폭증했다. 전체 외국환거래법 위반행위 적발금액 중 환치기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17년 21.5%에서 2022년 83.1%로 크게 증가했다.

 

환치기 적발 금액이 이같이 폭증하게 된 원인은 외국보다 국내에서 가상자산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는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가상자산 환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환치기 적발금액 중 가상자산을 이용한 환치기 적발금액은 2018년 7,841억원(10건)에서 2022년 4조7,566억원(12건)으로 무려 6.1배 규모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환치기 1건당 평균 금액으로 환산해 보면 2018년 784억원에서 2022년 3,964억원으로 3,180억원(4.1배) 증가한 것이다.

 

가상자산 환치기 국가별로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중국이 3조2,833억원(23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홍콩 2조5,483억원(7건), 호주 4,170억원(1건), 일본 1,302억원(2건), 필리핀 442억원(2건), 기타 381억원(1건)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송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특정 국가에 쏠리며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가상자산 환치기 문제에 대해 지적한 바 있다.

 

송 의원은 “지난 한 해 동안에만 적발된 환치기 금액이 무려 5조원을 넘겼고, 그 중 가산자산을 이용한 환치기 적발금액이 4조7,566억원에 달할 정도로 가상자산을 이용한 불법 환치기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라며 “관세청은 금융 당국 및 수사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단속역량을 강화하고, 보다 효과적인 단속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신간] 잠재적 콘텐츠 발굴로 지역 관광 살린다...주제여행포럼 '지역관광' 출간
주제여행포럼이 지역관광의 본질과 미래를 다룬 신간 『지역관광』을 ㈜백산출판사를 통해 출간했다. 이번 책은 지역의 문화·역사·자연·생활 자원을 기반으로 한 관광 콘텐츠의 의미를 짚어내며, 도시재생·문화뉴딜·생활 SOC 사업 등 정부 정책과 연계된 다양한 현장 사례를 담아냈다. 더 나아가 국내외 지역관광 정책, 지역관광 발전 사례, 관광자원 해석과 관광 거버넌스 등 현장과 학문을 아우르는 주요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지역관광을 단순히 관광객 유치의 수단으로 한정하기보다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특히 청주 연초제조창 재생이나 ‘대한민국 문화도시’ 조성계획과 같은 구체적 사례를 통해 지역 고유의 매력을 발굴하고, 이를 지속가능한 관광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했다. 대표 저자인 고종원 교수(연성대 호텔관광과/주제여행포럼 회장)을 대신하여 참여저자인 주성열 교수는 "지역관광은 전통을 지키는 동시에 사회적 소통과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며 “이번 책이 지역관광 정책 입안자와 학계, 현장 관계자들에게 실질적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집필에는 관광학과 문화예술 분야 전문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