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후


늦더위 씻겨내는 '반가운 비'... 추분에 찾아올 가을바람

20~21일 최대 250㎜ 예보... 22일 기점 찬공기 유입 일교차 10℃이상 날듯

 

20~21일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면서 늦더위가 물러나고 추분(秋分:일 년 중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인 22일부터는 가을바람이 불겠다.

 

공상민 기상청 예보 분석관은 19일 정례 예보 브리핑에서 “추석 연휴 동안 상층의 티베트 고기압과 하층의 북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를 덮고 있어 더위가 이어졌지만 주말부터는 기압계 전환이 있을 것”이라며 “따라서 이날 오후 4시를 기해 폭염특보가 대부분 해제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20일 아침까지는 남쪽에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강하게 유입되면서 고온다습한 공기가 지형과 충돌하는 지역이나 공기가 모이는 지역에 비와 소나기가 내리겠지만 이후 티베트 고기압이 약화하며 막혀있던 상공의 찬공기가 우리나라 쪽으로 내려온다고 전했다.

 

19~21일 총강수량은 강원동해안과 강원산지 100~200㎜(최대 250㎜ 이상), 북부를 제외한 제주 50~150㎜(중산간과 산지 최대 250㎜ 이상), 충북과 경북북부 50~100㎜(최대 150㎜ 이상), 부산·울산·경남 30~100㎜(부산·경남남해안과 지리산 부근 최대 150㎜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과 서해5도, 강원내륙, 충남권, 호남, 대구와 경북남부, 울릉도, 독도, 제주북부엔 비가 30~80㎜ 오겠다.

 

비가 그친 뒤 22일부터는 대체로 맑은 날씨가 예상된다. 북쪽의 차고 건조한 공기가 한반도 상공에 위치하며 기온이 크게 하락하겠다. 이 기간 아침 기온은 12~22도, 낮 기온은 19~30도를 오르내리겠다. 단, 평년(아침 최저기온 12~19도, 낮 최고기온 23~26도)보다는 조금 높은 수준이다.

 

제주 부근에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경계를 이루고 북태평양고기압이 지속해서 고온다습한 공기를 남쪽에서 끌어올리는 탓에 기압골이 만들어지는 ‘변수’가 있지만 지금 같은 폭염이 재연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특히 22~26일 차가운 동풍을 맞는 동해안은 낮 기온이 25도 아래에 머물겠다. 반면서쪽은 ‘승온 효과’로 25도를 웃돌겠다. 기상청은 밤 사이엔 냉각에 의해 기온이 20도 아래로 떨어져 낮과 밤의 기온 차가 10도 내외로 일교차가 클 것으로 보인다며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책위 “오송참사,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2주기 전 해결해 달라”
중대시민재해 오송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3일 “오송지하차도참사 2주기가 되기 전에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는 열네 명의 생명을 앗아간 참극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외치며 싸우고 있다. 오송참사대책위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직까지 진정한 사과도 없이 여전히 책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김영환 지사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한 결정에 대한 대전고법 항고는 5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깜깜무소식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가 작년에 국정조사를 약속했지만 아직 국회 본회의의 문턱에 오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무관심과 관리 부실, 그리고 책임 회피가 빚어낸 명백한 ‘인재’”라면서 “참사 발생 2년이 지나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