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28일 화요일

메뉴

국제


트럼프發 관세부담, 결국 소비자 몫…기업들 영수증에 '관세' 추가

폭스뉴스 “미중무역 긴장 속 관세인상, 기업·소비자 체감 시작”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미국 소비자들이 쇼핑 영수증에서 관세 항목을 직접 확인하며 그 부담을 체감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미국 폭스(FOX) 뉴스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소비자들이 쇼핑 영수증에 '관세 추가'라는 새로운 문구가 붙은 것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90일간 관세 부과를 유예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과 소비자들이 그 영향을 체감하고 있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폭스뉴스는 미국 내 다수 기업은 정액 형태 또는 구매 총액의 일정 비율로 '관세 추가 요금'을 청구하고 있으며, 의류부터 자동차까지 거의 모든 소비재의 가격이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성건강 기업 'Dame'의 CEO인 알렉산드라 파인(Alexandra Fine)이 최근 구매자에게 5달러의 ‘트럼프 관세 추가 부과’ 항목을 명시하기 시작했다는 월스트릿저널 기사를 전했다. 

 

파인은 월스트릿저널에 “이 추가 요금은 하나의 진술이다. 이 정책들이 우리 모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객들이 알기를 바란다”고 꼬집었다. 이 회사는 현재 중국에서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145%에 달하는 수입 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이러한 관세 전가는 이커머스 대기업 아마존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아마존 CEO 앤디 재시(Andy Jassy)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제조업체들이 그 비용을 직접 부담하기보다는 고객에게 ‘전가’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아마존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약 60%는 제3자 판매자가 취급하고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중국 기업이다.

 

실제 미국 내 웨딩드레스 가격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뉴저지의 웨딩드레스 숍 ‘Jan’s Boutique’ 공동 소유주인 폴 비릴리(Paul Birilli)는 CBS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산 웨딩드레스 가격이 오르고 있다”며 “중국과 미국의 관계가 회복되어 이 드레스를 표시된 가격에 계속 판매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현재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평균 84%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미국은 추가 관세 정책을 유예하긴 했지만, 기업들은 이미 그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폭스뉴스는 전했다. 

 

해당 기사에 달린 댓글에서 ID 'G8a663'는 "지금쯤 어떤 기업들은 고객들에 바가지 씌우고 있을 거라 본다"고 밝혔고, 'view118'는 "첫 번째 관세가 발효된 이후 통관을 마친 제품은 아주 적고, 대부분의 매장 진열대, 창고, 미국 내 물류창고에 있던 것들이다. 이건 그냥 가격 담합"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ivannano'는 "우리 회사는 미국에서 생산을 하지만, 미국에서 생산하지 않는 원자재는 전부 중국에서 수입한다"며 "결국 고객들은 미국산 제품에 대해 더 많은 돈을 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