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산업


삼성 에어컨, 동남아 B2C·B2B 동시 공략…판매량 20%↑

내장형 와이파이 탑재, 스마트싱스 'AI 절약 모드'∙'빅스비' 등 지원

 

 

삼성전자가 스마트한 연결성과 공간 효율성을 앞세운 신형 가정용 시스템에어컨을 통해 빠르게 성장 중인 동남아 공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삼성전자는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 주요 동남아 국가를 중심으로 내장 와이파이 기능과 슬림한 디자인을 갖춘 ‘1Way 카세트형’ 무풍 시스템에어컨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높이 135mm의 얇은 디자인으로 천장 매립이 용이하며, 인테리어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 동남아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와이파이 기능이 내장돼 있어 별도 액세서리 없이도 스마트싱스(SmartThings) 앱 및 음성 비서 빅스비(Bixby)를 통해 실내 온도 및 습도 조절 등 다양한 제어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AI 절약 모드’를 활용하면 에너지 소비를 최대 20%까지 줄일 수 있으며, 냉매는 기존 R410A보다 지구온난화지수가 크게 낮은 R32를 채택해 친환경성을 높였다.

 

삼성전자는 동남아 전역의 프리미엄 주거시설과 리조트, 호텔,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스템에어컨 제품을 공급하며 B2B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삼성이 선보인 라인업은 단일 방향 냉방이 가능한 1Way 카세트, 사방향 냉방을 제공하는 4Way 카세트, 360도 원형 냉풍을 구현하는 360 카세트 등으로 다양하다.

 

2024년 동남아 전체 시스템에어컨 판매량은 전년 대비 20% 이상 성장했고, 특히 1Way 모델은 35% 이상 증가했다. 콤팩트한 사이즈와 정밀한 냉방 성능이 시장에서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 삼성전자는 필리핀 마닐라의 고급 주상복합단지에 약 1천 대의 1Way 모델과 400여 대의 고효율 시스템에어컨 DVM S2 및 DVM S Mini를 설치했으며, 인도네시아 발리의 '발리 비치 호텔'에도 맞춤형 냉방 시스템을 대규모 공급한 바 있다.

 

삼성전자 DA사업부 최항석 상무는 “스마트 기술과 세련된 디자인, 탁월한 냉방 성능을 바탕으로 동남아 공조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넓혀갈 것”이라며, “향후 글로벌 공조 시장에서도 리더십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