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는 15일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군 복무 경력을 두고 거세게 충돌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창군 이래 첫 ‘방위병 출신’ 국방부 장관 후보자임에 우려를 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방장관으로서 갖춰야 할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A+급’ 장관 후보자라고 맞섰다.

강선영 국민의힘 의원은 “안 후보자는 1983년 방위병으로 소집돼 22개월 근무했지만, 당시 방위병 복무기간은 14개월이었다”며 “왜 더 복무했는지 병적기록 세부 자료를 요청했지만, 개인정보라고 제출을 거부했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이어 “국방장관 후보자는 창군 이래 첫 방위병 출신이고, 공교롭게 대통령과 총리는 군에 안 갔다 왔다”며 “대통령은 핵무기 개발에 사용할 자금을 불법적으로 북한에 송금한 혐의로 기소됐고, 국무총리는 미국 문화원 점거 농성을 배후에서 조종한 혐의로 실형을 살았다. 국가안보에 위기가 생기면 어쩌나 하는 국민의 우려를 대신 전한다”고 했다.
같은 당 임종득 의원은 역시 “방위병 출신이어서 군정과 군령을 동시에 해야 하는 국방장관 자리를 맡는 것에 대한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병적 기록 등의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대북송금과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이 어느 은행 기관을 통해 송금한 증서가 있는가. 송금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이어 정청래 의원은 “국가안보의 가장 큰 위협은 윤석열의 비상계엄, 내란 같은 행위”라며 “내란 우두머리가 당원으로 있었던 내란동조 세력 국민의힘에서 방위병 출신을 운운하는 것을 참을 수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안규백 후보자는 군(軍) 복무 기간 논란과 관련해 “현재 관리되고 있는 병무청의 병적 기록상은 사실과 다르게 기록돼 있다”고 해명했다.
안 후보자는 “45년 전 일종의 병무행정의 착오라고 생각한다”면서 “사실 어찌보면 병무행정 착오의 피해자”라며 “사실 그 당시 대학 1·2학년을 마치면 교련 이수에 따른 9일 간의 군 면제 혜택, 단기병사는 45일 간의 혜택이 있었다. 하지만 그 혜택도 받지 않고 복무기간을 만기로 다 채웠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