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신규 생명보험 계약 1건당 가입금액이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세대는 예전과 달리 노후 대비를 위해 많이 가입하던 종신보험과 연금보험 등 고가 상품에 관심이 줄어들면서 보험사가 건강보험을 비롯해 보험료와 가입금액이 적은 상품을 대거 출시한 영향이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까지 국내에서 체결된 생명보험 신규 계약 1건당 가입금액은 2703만원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말 신규 계약 1건당 2646만원을 기록한 이래 13년 만에 최저치다. 2012년 국내 생명보험 계약 규모만 연간 411조원 규모였다.
보험업계에서는 이미 생명보험사가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해 건강보험 위주의 판매 전략을 바꾸고 있다. 기존 생명보험에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해온 종신보험은 20·30대에게 인기가 없기 때문에 간소화된 '미니 보험'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국 사회의 저출산·초고령화 진입하면서 1인 가구와 자녀가 없는 부부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자신이 죽은 이후를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작아졌다. 자녀가 있는 가구라고 하더라도 굳이 종신보험에 가입할 필요가 없다고 여기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에 생명보험사는 판매 전략을 건강보험 위주로 재구성했다. 건강보험은 생명보험사의 기존 주력이었던 종신보험이나 연금보험에 비해 보장금액이 적은 만큼 보험료도 낮다. 월 보험료가 수천 원대인 무·저해지보험을 선보이며 소비자에게 어필한 것이다. 또 무·저해지보험은 해지환급금이 적거나 없는 대신 보험료가 저렴한 상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