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최근 한미 간 진행 중인 관세협상과 관련해 “우리 산업의 민감성을 최대한 고려하면서 국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대미 통상 긴급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정부와 민간이 공동 대응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회의는 산업계, 학계, 경제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장관 취임 이후 처음으로 민관이 함께한 공식 점검 자리였다.
그는 “미국이 실제로 관세 조치를 취할 경우, 무역뿐만 아니라 공급망 전반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기업들이 직면할 불확실성이 상당히 크다”고 설명하며, “이제는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산업 전반의 실효적 대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김 장관은 “미국과의 논의는 단순한 관세 문제를 넘어서 제조업 협력, 무역수지 개선 등 폭넓은 분야에서 실용적 접근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비관세 조치 역시 중요한 협상 카드로 검토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대미 통상 협상은 베스트와 워스트 시나리오 모두를 상정해야 할 만큼 예측이 어렵고 민감한 사안”이라며, “국내에서도 우려가 적지 않다는 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미 협상에서 미국은 ▲자국산 제품 수입 확대 ▲농축산물 시장 개방 확대 ▲정밀 지도 데이터의 해외 반출 허용 등 다양한 요구 사항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진다.
김 장관은 기자들의 관련 질의에 대해 “모든 옵션은 테이블 위에 있다”고 언급하며 구체적인 협상 전략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한편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통상 현안을 조율하기 위해 방미 중인 가운데, 김 장관 역시 미국 방문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그는 “가까운 시일 내 방미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