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7년 만에 파업에 돌입했다.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이 난항을 겪으면서 이날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을 강행한다.
3일 현대차 노조(금속노조 현대차지부)는 3일부터 사흘간 부분 파업에 들어간다. 처음 이틀간은 오전 출근조 근무자와 오후 출근조 근무자가 각각 2시간 파업한다. 마지막 날에는 4시간 파업한다고 알려졌다.
이들 조합원은 이후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파업 결의대회에 참가한다. 현대차 노조의 파업은 7년 만에 처음이며, 현대차 노사의 쟁점은 임금 인상 규모, 정년 연장, 통상임금 확대 등이다.
앞서 지난달 25일 현대차 노조는 전체 조합원(4만2180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한 결과 86.15%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투표율은 94.75%였다.
사측은 월 기본급 9만5천원 인상, 성과금 400%+1400만원, 전통시장상품권 20만원, 주식 30주 지급, 일부 수당에 통상임금 확대 적용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앞서 월 기본급 14만 1300원 인상(호봉승급분 제외), 작년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소득 공백 없는 정년 연장(최장 64세), 주 4.5일제 도입, 상여금 인상 등을 요구한 노조는 이같은 사측안이 조합원 기대에 못미친다며 거부했다.

현대중공업도 강경한 입장을 내놓았다. HD현대중공업 노조(금속노조 현대중공업지부)는 3일 오후 1시부터 4시간 파업한다. HD현대중 노조는 올해 들어 이미 6차례 부분 파업했으나 임금 교섭에서 회사가 추가 안을 제시하지 않자 오는 5일까지 파업을 이어간다.
HD현대중 노사는 지난 7월에 기본급 13만3천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 격려금 520만원, 특별금(약정임금 100%) 지급, 기준에 따른 성과급 지급 등을 담은 잠정합의안까지 도출했으나 조합원 총회에서 부결된 이후 현재까지 진전이 없는 상태다.
최근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미포의 합병이 결정되면서 노조는 더 완강하게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노조는 합병에 따른 전환 배치, 고용 불안을 우려하며 고용안정협약서 작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회사가 내놓은 합병 자료 어디에도 고용 안정, 전환 배치 대책, 성과 보장은 없다"며 "(미국과 협력하는) 국가 전략 프로젝트인 '마스가'(MASGA)는 자국민 기술자의 손과 숙련 없이는 결코 실현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