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년간 전셋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전세품귀 현상까지 계속되자 차라리 내 집 장만을 하겠다는 수요가 늘고 있다. 현재 전셋값이 과거 매매가격에 근접해 가면서 세입자들의 불만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리얼하우스가 KB부동산리브온을 분석해 5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2018년 이후 현재(올해 2월 기준)까지 3년간 무려 27.7%(3.3㎡당 739만원→931만원) 올랐다.
현재 전세수급지수도 170.4에 달한다. 비싼 전세금을 지불할 의향이 있더라도 전셋집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살펴보면 현재 전셋값이 3년 전 매매가격을 넘어선 단지들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서울 은평구 진관동에 위치한 ‘은평뉴타운 박석고개 힐스테이트 1단지’ 전용 59㎡A형은 올해 2월 전세금 6억2,000만원(10층)에 세입자를 맞이했다. 동일 주택형은 불과 3년 전만 해도 5억원 중후반대로 내 집을 장만할 수 있었다. 실제 동일 주택형이 2018년 4월 5억5,500만원(10층)에 거래됐다.
경기도 성남시 중앙동에 ‘중앙동 힐스테이트 2차’ 전용 84㎡형은 지난 1월 6억5,000만원(15층)에 전세 거래가 이뤄졌다. 동일 주택형은 2018년 1월 4억5,500만원(15층)에 새주인을 맞이했다. 3년 전 매매가에 2억원을 더 지불해야만 전셋집을 구할 수 있는 셈이다.
지방도 마찬가지다. 대구 동구 신천동에 ‘동대구반도유보라’ 전용 59㎡형은 올해 1월 4억원(10층)에 전세계약이 이뤄졌다. 반면 2018년 1월엔 동일 주택형이 분양권 상태로 3억4,120만원(10층)에 거래됐다.
서울 은평구에서 부동산을 운영 중인 한 중개업자는 “전세 매물이 대부분 고갈되면서 전세 만기 6개월 전부터 전셋집을 찾아다니는 고객들도 있다”면서 “전셋집 구하기가 워낙 어려워지면서 결국 매매로 전환되는 사례도 많다”고 전했다.
한편 ‘로또 분양’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청약시장이 과열되는 현상도 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리얼하우스 김병기 팀장은 “분양시장은 기존 부동산시장과 달리 초기 비용부담이 적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비교적 낮다”며 “특별공급과 1•2순위 청약 모두 무주택자들에게 우선권이 부여된 다는 점도 전세수요자들의 매수심리를 자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