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6.02 (금)

  • 구름많음동두천 16.8℃
  • 구름많음강릉 21.1℃
  • 구름많음서울 18.4℃
  • 구름많음대전 19.1℃
  • 박무대구 18.6℃
  • 흐림울산 18.9℃
  • 박무광주 19.5℃
  • 구름많음부산 19.7℃
  • 흐림고창 19.3℃
  • 제주 19.5℃
  • 구름많음강화 16.7℃
  • 흐림보은 18.7℃
  • 구름많음금산 18.4℃
  • 구름많음강진군 19.3℃
  • 구름많음경주시 19.0℃
  • 구름많음거제 18.1℃
기상청 제공

부동산


서울-광역시 집값 8억5000만원 차이...文정부 들어 양극화 심화

 

문재인 정부가 지방 분권과 국가 균형발전을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웠음에도 서울과 5대 광역시 간의 아파트 가격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 리브온을 분석해 5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5월 서울과 5대 광역시의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각각 6억 708만원, 2억 6200만원으로 지역 간 아파트 가격 격차는 3억 4508만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현 정부 들어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12억 4978만원으로 2017년 5월 대비 105.9% 치솟아 올랐다. 이에 비해 5대 광역시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3억 9701만원으로 51.5% 오르는데 그치면서 서울과 5대 광역시 아파트 가격 격차는 8억 5277만원으로 벌어졌다.

 

5대 광역시는 아파트 가격이 더디게 오른 반면,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면서 양극화가 더욱 커지게 된 것이다. 이 같은 아파트 가격 상승세는 실거래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 위치한 ‘아크로리버파크’ 전용면적 84㎡는 지난 2017년 5월 19억 4500만원(17층)에 거래됐지만, 2021년 12월 26일에는 39억 8000만원(8층)에 거래돼 20억 3500만원 치솟았고, 104.6% 상승률을 보였다.

 

울산 남구 신정동에 위치한 ’문수로2차 아이파크 1단지’ 전용면적 84㎡는 2017년 5월 19일 5억 7800만원(20층)에 거래됐지만, 2021년 12월 17일에는 11억 3500만원(17층)에 거래돼 5억 5700만원 오르고 96.4% 상승했다.

 

대전 유성구 상대동에 위치한 ‘트리풀시티 5단지’ 전용면적 84㎡는 2017년 5월 13일 4억 900만원(12층)에 거래됐지만, 2021년 12월 15일 7억 1000만원(12층)에 계약이 이뤄져 3억 100만원 오르고 73.6% 상승했다.

 

광주 북구 신용동에 위치한 ‘광주첨단2지구호반베르디움1단지’ 전용면적 84㎡는 2017년 5월 4억 2000만원(25층)에 계약됐지만, 2021년 12월 7억 3750만원(20층)에 손바뀜이 일어나 3억 1750만원 오르고 75.6% 상승했다.

 

같은 기간 대구 달서구에 위치한 ‘월성 월드메르디앙’ 전용면적 84㎡는 4억 750만원(25층)에서 2021년 12월 6억 9000만원(24층)으로 69.3% 올랐다. 부산 동래구에 ‘명륜 아이파크 1단지’ 전용면적 84㎡는 5억 7800만원(19층)에서 9억원(12층)으로 55.7% 상승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다주택자 보유세 강화와 1주택자 세부담 완화로 똘똘한 한 채 선호현상은 더 강해지고 있다”며 “서울과 5대 광역시간의 지역 양극화도 갈수록 더 심화될 수 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산업계 탄소중립 실천, "통상법 국제규범에 맞춰야”
산업계가 탄소중립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내 통상법을 국제규범에 맞추고 역외기업(域外企業) 차별 요소 해소를 정부가 관련국과 협의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열린 「2023년 상반기 탄소중립 K-Tech 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김성우 김앤장 환경에너지연구소장은 “전기차나 재생에너지발전기 등 친환경제품 공급망은 탄소발자국이 중요하다”며 전기차와 철강업계에 보조금을 지급한 프랑스와 독일 사례를 언급했다. 김 소장은 “프랑스는 전기차 보조금 요건을 명시한 녹색산업법안을 제정했고, 이로 인해 중국보다 탄소를 50% 덜 배출하고 있다”면서 “독일은 잘츠기터(독일 철강 생산업체)의 그린수소환원철 프로젝트로 탄소배출권 비용을 절감했고, 이에 잘츠기터에 정부지원금 지급과 전기료 80% 삭감을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김종훈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상임이사는 “연구소를 보유한 (국내 소재) 866ro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및 연구개발(R&D) 추진현황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38.3%가 현재 탄소중립 정부 정책이 충분히 도움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며 정부 차원의 적절한 탄소중립 지원사업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