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제로페이 정부예산 400억원 지원 불구, 87만(63%) 가맹점 결제횟수 제로

제로페이가 총 399.6억원의 막대한 정부지원 예산에도 불구하고 사용실적과 가맹점 확대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밝혀졌다.

 

구자근 의원(국민의힘) 

 

이같은 사실은 중기부가 구자근 의원(국민의힘)에게 제출한 제로페이 현황 자료를 통해 밝혀졌다.

 

문재인 정부는 2018년 12월, 2019년 경제정책 방향에 제로페이를 포함하면서, 제로페이는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전국단위의 서비스를 개시했다. 또 제로페이 가맹점 확대를 위해 가맹점 QR키트와 단말기 보급, 홍보 및 마케팅 지원에 해마다 막대한 예산을 써왔다. 

 

제로페이 확대를 위한 정부 지원예산은 ‘19년 60억원, ’20년 102억원, ‘21년 135억 6천만, 22년 102억원으로 총 399.6억원의 예산이 지원됐다.

 

중기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제로페이 누적가맹점의 경우 ‘18년 1.6만개, ’19년 32.4만개, ‘20년 72.9만개, ’21년 138.3만개로 증가했지만, 올해 상반기는 ‘22년 6월 기준 147.9만개에 그치고 있다. 

 

지난해 65.4만개 가맹점이 늘어나 89.7%의 확장세를 보인데 비해 올해 상반기에는 9.6만개 점포만이 증가해 6% 증가에 불과했다.

 

제로페이의 연간 결제액을 살펴보면, 2019년 767억원 수준에서 2020년 1조 808억원, 2021년 2조 4,653억원으로 증가했지만, 이같은 결제액 증가는 제로페이를 통해 지자체가 발행하는 지역사랑상품권과 중기부가 발행하는 온누리상품권 결제액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실제 상품권을 제외한 결제액은 미비했다.

 

국회예산처의 분석자료에 따르면 제로페이에서 상품권 결제 비중을 살펴보면 ‘19년 결제액 767억원 중 118억원(15%)에서 ’20년 1조 808억 중 9,030억(83.6/5), ‘21년 2조 4,653억원 중 2조 2,474억원으로 전체 결제액의 91.2%를 차지했다. ’21년말 기준 제로페이 누적 총 결제액 3조 6,228억원 중 상품권 결제액이 3조 1,623억원으로 상품권결제비중이 87.3%에 달했다.

 

또한 제로페이 제도 도입 이래 2021년까지 상품권 이외의 누적 결제액은 4,605억원이고, 가맹점 1개당 결제액은 33.4만원에 불과했다. 제로페이 서비스 개시 이래 63.1%에 해당하는 87만 2,792개의 가맹점이 제로페이 누적결제액이 0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83.4%가 100만원 이하를 기록했다.

 

제로페이 시범사업 시기인 ‘18년에는 정부가 개당 8천원 가격의 QR프린트물 키트를 가맹점에 보급해 소비자의 휴대폰으로 읽고 금액을 입력하여 결제하는 방식인 MPM(판매자 제시방식)방식으로 시작했다.

 

 

하지만 소비자가 앱을 실행해 QR코드를 스캔하고 금액을 입력하는 등의 불편으로 인해, ’19년부터 고객이 스마트폰에 QR코드를 제시하면 가맹점 직원이 QR리더기로 읽어 결제하는 CPM(소비자 제시방식)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 8천원 MPM방식에 추가로 4만원 가량의 추가 CPM단말기 지원 부담을 떠안게 되었다. 향후 값비싼 CPM단말기 지원이 계속 확대될 경우 국고지원 예산지원액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자근 의원은 “제로페이의 경우 제도시행 4년을 맞아 막대한 예산지원에도 불구하고, 결제방식의 불편성과 신용카드 혜택을 볼 수 없다는 점 등으로 인해 가맹점 확보에 고전하고 있다”며 “자영업자를 돕겠다는 취지에도 불구하고 제로페이 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으로 인해 시장에서 자리잡고 있지 못한 상황에서 근본적인 제도개선책을 검토해야 한다”지적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무자격 날씨 유튜버 활개...기상청, 관리·제재 전무
17일 오전 열린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기상청 대상 국정감사에서 잘못된 기상 정보를 유포하는 유트버들로 인해 국민들의 심각한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상법 17조는 예보 또는 특보를 할 수 있는 자격을 ‘기상사업자로 등록한 자’로 규정하고 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기상사업자로 등록하지 않은 채 유튜브에 날씨 영상을 올리는 채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상청 공식 채널보다 무자격 유튜브 채널을 통해 날씨 정보를 얻고 있는 상황”이라고 심각성을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제6호 태풍 위파에 대한 예보 영상을 예로 들었다. 지난 7월 13일 한 유튜브 채널에 위파가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고 있다는 예보 영상이 올라왔지만, 실제로 위파는 한반도에 닿지 않았고 이 영상의 조회수는 9만4000회나 됐다. 반면, 같은 날 기상청 공식 채널에 공개된 예보 영상에는 ‘밤부터 더 강하게 온다. 전국 비. 남부와 강원 집중호의 주의’라는 내용이 담겼고, 조회 수는 1만회에 그쳤다. 김 의원은 “태풍이 안 와서 다행이지만 반대로 안 온다고 예보했다가 실제로 오는 경우가 발생하면 국민들은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며 “가